1. 비트코인의 기본 개념

1.1 비트코인이란?

비트코인은 2008년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가명의 인물(혹은 그룹)이 발표한 논문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에서 처음 소개된 디지털 화폐입니다. 이 시스템은 중앙 기관 없이도 작동하는 전자 화폐를 구현했습니다.

비트코인의 핵심은 은행이나 정부 같은 중개자 없이 가치를 저장하고 전송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기존 금융 시스템과 달리, 비트코인은 수학과 암호화 기술에 기반한 규칙으로 운영됩니다.

“비트코인은 중앙 권력이 아닌, 수학과 암호화 기술에 기반한 최초의 탈중앙화된 디지털 화폐입니다.”

Bitcoin-Image

1.2 비트코인의 핵심 특징

  1. 탈중앙화: 어떤 은행이나 정부도 비트코인을 통제하지 않습니다.
  2. 한정된 공급량: 비트코인은 최대 2,100만 개까지만 발행됩니다.
  3. 투명성: 모든 거래는 공개 장부(블록체인)에 기록됩니다.
  4. 디지털 서명: 수학적 알고리즘으로 거래의 진위를 증명합니다.

 

2. 블록체인: 비트코인의 기반 기술

2.1 블록체인의 기본 개념

블록체인은 이름 그대로 ‘블록들의 연결고리’입니다. 각 블록은 거래 정보를 담고 있고, 이전 블록과 수학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런 구조로 인해 한번 기록된 정보는 변경하기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블록체인을 이해하기 위해, 특별한 장부를 생각해보세요:

  1. 모든 참여자가 동일한 복사본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새로운 페이지를 추가할 때마다 특별한 도장이 필요합니다.
  3. 각 페이지는 이전 페이지의 내용을 참조합니다.
  4. 한 페이지라도 조작하면 그 뒤의 모든 페이지도 다시 조작해야 합니다.

2.2 블록체인의 구조

블록체인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면:

┌─────────────┐     ┌─────────────┐       ┌─────────────┐
│   블록 #1    │◄────►│   블록 #2    │◄────► │   블록 #3    │ ◄─── ... 
├─────────────┤      ├─────────────┤       ├─────────────┤
│ 이전 해시:    │      │ 이전 해시:     │      │ 이전 해시:    │
│    0000     │      │  블록 #1의    │      │  블록 #2의   │
│             │      │     해시     │      │     해시     │
├─────────────┤      ├─────────────┤      ├─────────────┤
│ 타임스탬프     │      │ 타임스탬프     │      │ 타임스탬프     │
├─────────────┤      ├─────────────┤      ├─────────────┤
│   논스       │      │   논스       │      │   논스       │
├─────────────┤      ├─────────────┤      ├─────────────┤
│ 머클 루트     │      │ 머클 루트     │      │ 머클 루트      │
├─────────────┤      ├─────────────┤      ├─────────────┤
│   거래들      │      │   거래들     │      │   거래들      │
│  Tx1, Tx2,  │      │  Tx3, Tx4,  │      │  Tx6, Tx7,  │
│  Tx3, ...   │      │  Tx5, ...   │      │  Tx8, ...   │
└─────────────┘      └─────────────┘      └─────────────┘

2.3 블록의 구조: 헤더와 본문

각 블록은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블록 헤더 (80바이트)

┌────────────────────────────────────────────────────┐
│                     블록 헤더                        │
├───────────────┬────────────────────────────────────┤
│ 구성 요소       │ 설명                                │
├───────────────┼────────────────────────────────────┤
│ 버전           │ 블록이 따르는 프로토콜 버전 (4바이트)       │
├───────────────┼────────────────────────────────────┤
│ 이전 블록 해시   │ 이전 블록 헤더의 SHA-256 해시            │
│               │ (32바이트)                           │
├───────────────┼────────────────────────────────────┤
│ 머클 루트       │ 모든 거래의 해시를 요약한 값              │
│               │ (32바이트)                           │
├───────────────┼────────────────────────────────────┤
│ 타임스탬프       │ 블록이 생성된 시간 (4바이트)             │
├───────────────┼────────────────────────────────────┤
│ 난이도 목표      │ 작업 증명의 난이도 (4바이트)             │
├───────────────┼────────────────────────────────────┤
│ 논스           │ 작업 증명을 위해 변경되는 값 (4바이트)      │
└───────────────┴─────────────────────────────────────┘

블록 본문

블록 본문에는 블록에 포함된 모든 거래 데이터가 들어있습니다. 첫 번째 거래는 항상 ‘코인베이스 거래’로, 새로 생성된 비트코인을 채굴자에게 지급하는 특별한 거래입니다.

2.4 머클 트리: 효율적인 거래 검증

머클 트리는 많은 거래를 효율적으로 요약하는 자료구조입니다. 각 거래의 해시값을 쌍으로 묶어 새로운 해시를 만들고, 최종적으로 하나의 ‘머클 루트’를 생성합니다.

               ┌─────────────┐
               │  머클 루트    │
               └──────┬──────┘
                      │
        ┌─────────────┴─────────────┐
        │                           │
┌───────┴───────┐           ┌───────┴───────┐
│   해시 AB      │           │   해시 CD      │
└───────┬───────┘           └───────┬───────┘
        │                           │
┌───────┴───────┐           ┌───────┴───────┐
│               │           │               │
▼               ▼           ▼               ▼
┌───────┐ ┌───────┐        ┌───────┐ ┌───────┐
│ Tx A  │ │ Tx B  │        │ Tx C  │ │ Tx D  │
└───────┘ └───────┘        └───────┘ └───────┘

이 구조 덕분에 거래가 수천 개 있어도 단 하나의 해시값(머클 루트)으로 모든 거래를 검증할 수 있습니다.

 

3. 비트코인 거래의 작동 원리

3.1 비트코인 거래의 처리 과정

비트코인 거래가 처리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      ┌─────────────────┐
│  1. 거래 생성     │────►│  2. 디지털 서명    │────►│ 3. 네트워크 전파    │
└─────────────────┘     └─────────────────┘     └─────────────────┘
         │                                               │
         │                                               ▼
┌─────────────────┐     ┌─────────────────┐     ┌─────────────────┐
│  6. 블록 생성     │◄────│  5. 채굴 과정     │◄────│  4. 거래 검증      │
└─────────────────┘     └─────────────────┘     └─────────────────┘
         │
         ▼
┌─────────────────┐     ┌─────────────────┐
│7. 블록체인 추가    │────►│   8. 확인 완료     │
└─────────────────┘     └─────────────────┘

1단계: 거래 생성

사용자는 비트코인 지갑을 통해 거래를 생성합니다. 이 거래에는 송신자의 이전 거래 출력(입력), 수신자의 주소와 금액(출력), 그리고 거래 수수료가 포함됩니다.

2단계: 디지털 서명

송신자는 자신의 개인 키로 거래에 서명합니다. 이 서명은 ECDSA(타원곡선 디지털 서명 알고리즘)라는 암호화 방식을 사용합니다.

3~4단계: 네트워크 전파와 검증

서명된 거래는 P2P(Peer-to-Peer) 방식으로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전파되고, 각 노드는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합니다.

5~6단계: 채굴 과정과 블록 생성

채굴자들은 메모리 풀에서 거래를 선택해 새 블록을 만들고, 작업 증명(Proof of Work)을 수행합니다.

7~8단계: 블록체인 추가와 확인

작업 증명에 성공한 채굴자는 새 블록을 네트워크에 전파하고, 이 블록은 블록체인에 추가됩니다. 이후 추가되는 블록이 많을수록 거래는 더 안전하게 확정됩니다.

3.2 비트코인 거래의 구조

비트코인 거래는 ‘입력’과 ‘출력’으로 구성됩니다.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                        거래 (Transaction)                  │
├───────────────────────────────────────────────────────────┤
│ 버전: 1                                                    │
├───────────────────────────────────────────────────────────┤
│ 입력 개수: 1                                                │
├───────────────────────────────────────────────────────────┤
│ 입력[0]:                                                   │
│  ┌─────────────────────────────────────────────────────┐  │
│  │ 이전 트랜잭션 해시: 7abd...                             │  │
│  │ 이전 트랜잭션 인덱스: 0                                  │  │
│  │ 스크립트 길이: 106                                     │  │
│  │ 스크립트 시그: 서명 + 공개키                              │  │
│  │ 시퀀스: ffffffff                                      │  │
│  └─────────────────────────────────────────────────────┘  │
├───────────────────────────────────────────────────────────┤
│ 출력 개수: 2                                                │
├───────────────────────────────────────────────────────────┤
│ 출력[0]:                                                   │
│  ┌─────────────────────────────────────────────────────┐  │
│  │ 금액: 0.1 BTC                                        │  │
│  │ 스크립트 길이: 25                                      │  │
│  │ 스크립트: OP_DUP OP_HASH160 <수신자의 공개키 해시>         │  │
│  │          OP_EQUALVERIFY OP_CHECKSIG                 │  │
│  └─────────────────────────────────────────────────────┘  │
│ 출력[1]:                                                   │
│  ┌─────────────────────────────────────────────────────┐  │
│  │ 금액: 0.9 BTC (거스름돈)                               │  │
│  │ 스크립트 길이: 25                                      │  │
│  │ 스크립트: OP_DUP OP_HASH160 <송신자의 공개키 해시>         │  │
│  │          OP_EQUALVERIFY OP_CHECKSIG                 │  │
│  └─────────────────────────────────────────────────────┘  │
├───────────────────────────────────────────────────────────┤
│ 락타임: 0                                                   │
└───────────────────────────────────────────────────────────┘

중요한 개념은 UTXO(Unspent Transaction Output, 미사용 거래 출력)입니다. 비트코인은 계좌 잔액 개념이 아니라, 이전 거래의 미사용 출력을 새 거래의 입력으로 사용합니다. 사용자의 지갑 잔액은 그가 제어할 수 있는 모든 UTXO의 합입니다.

 

4. 작업 증명(Proof of Work): 비트코인의 합의 알고리즘

4.1 작업 증명의 기본 개념

작업 증명은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보안과 합의를 위한 핵심 메커니즘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권한이 결정됩니다.

작업 증명의 기본 원리:

  1. 채굴자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해시값을 찾아야 합니다.
  2. 해시값을 찾는 유일한 방법은 논스(nonce)라는 값을 변경하며 시도하는 것입니다.
  3. 목표 조건을 만족하는 해시값을 먼저 찾는 채굴자가 새 블록을 생성할 권한을 얻고 보상을 받습니다.

4.2 해시 함수와 SHA-256

비트코인은 SHA-256이라는 해시 함수를 사용합니다. 해시 함수는 어떤 크기의 입력 데이터도 고정된 길이의 출력으로 변환하는 수학적 알고리즘입니다.

SHA-256의 특징:

  • 항상 64자리의 16진수 문자열(256비트)을 출력합니다.
  • 입력이 조금만 바뀌어도 출력은 완전히 달라집니다.
  • 출력에서 입력을 유추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예시:

SHA-256("hello") = 2cf24dba5fb0a30e26e83b2ac5b9e29e1b161e5c1fa7425e73043362938b9824
SHA-256("Hello") = 185f8db32271fe25f561a6fc938b2e264306ec304eda518007d1764826381969

4.3 작업 증명 과정

채굴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면:

┌──────────────────────────────────────────────────────┐
│                   블록 헤더 데이터                       │
│  (버전 + 이전 블록 해시 + 머클 루트 + 타임스탬프 + 난이도)      │
└───────────────────────────────┬──────────────────────┘
                                │
                                │ 논스 = 0
                                ▼
                         ┌─────────────┐
                         │  SHA-256    │
                         └──────┬──────┘
                                │
                                ▼
              ┌────────────────────────────────┐
              │     결과 해시가 목표값보다          │ 아니오
              │        작거나 같은가?             ├──────┐
              └────────────────┬───────────────┘      │
                               │ 예                   │
                               ▼                      │
              ┌────────────────────────────────┐      │
              │         채굴 성공!               │      │
              │    새 블록 생성 권한 획득           │      │
              └────────────────────────────────┘      │
                                                      │
                                                      │ 논스 + 1
                                                      └───────┐
                                                              │
                                                              ▼
                                                      계속 시도...

채굴자는 이 과정을 수십조 번 반복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초당 약 200경(2×10^20)번의 해시 계산을 수행합니다.

4.4 난이도 조정 메커니즘

비트코인은 평균 블록 생성 시간이 10분이 되도록 약 2주(2,016블록)마다 난이도를 자동으로 조정합니다. 채굴자의 수가 증가하면 난이도도 증가하고, 감소하면 난이도도 감소합니다.

난이도 조정 공식

새_난이도 = 현재_난이도 * (2주 / 지난_2016블록_생성_시간)

이 조정 덕분에 비트코인은 안정적인 블록 생성 속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5. 비트코인 지갑: 키와 주소

5.1 암호학적 키 쌍

비트코인 지갑은 실제로 비트코인 자체를 저장하지 않습니다. 대신, 비트코인에 접근할 수 있는 ‘열쇠’를 관리합니다:

  • 개인 키(Private Key): 비트코인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비밀 코드
  • 공개 키(Public Key): 개인 키에서 파생된 값
  • 비트코인 주소: 공개 키에서 생성된 식별자, 다른 사람들이 비트코인을 보낼 때 사용

5.2 키와 주소 생성 과정

비트코인 주소가 생성되는 과정:

┌─────────────────┐
│   개인 키 생성     │  (256비트 무작위 수)
└────────┬────────┘
         │
         ▼
┌─────────────────┐
│   공개 키 생성     │  (타원곡선 암호화, ECDSA)
└────────┬────────┘
         │
         ▼
┌─────────────────┐
│    SHA-256      │  (공개 키의 해시값 계산)
└────────┬────────┘
         │
         ▼
┌─────────────────┐
│    RIPEMD-160   │  (160비트로 줄이기)
└────────┬────────┘
         │
         ▼
┌─────────────────┐
│  버전 바이트 추가   │  (메인넷/테스트넷 구분)
└────────┬────────┘
         │
         ▼
┌─────────────────┐
│  체크섬 계산/추가   │  (오류 검출용)
└────────┬────────┘
         │
         ▼
┌─────────────────┐
│   Base58 인코딩   │  (가독성을 위한 변환)
└────────┬────────┘
         │
         ▼
┌─────────────────┐
│  비트코인 주소      │  (예: 1A1zP1eP5QGefi2DMPTfTL5SLmv7DivfNa)
└─────────────────┘

5.3 지갑의 종류

비트코인 지갑은 보안성과 편의성의 균형에 따라 여러 형태로 존재합니다:

콜드 월렛 vs 핫 월렛

┌──────────────────────────────┐   ┌──────────────────────────────┐
│          콜드 월렛              │   │            핫 월렛            │
│  (오프라인, 높은 보안성)           │   │   (온라인, 높은 접근성)          │
├───────────────────────────────┤   ├──────────────────────────────┤
│ - 하드웨어 지갑                  │   │ - 소프트웨어 지갑                │
│   (Ledger, Trezor)            │   │   (Electrum, Bitcoin Core)   │
│ - 종이 지갑                     │   │ - 모바일 지갑                   │
│   (프린트된 키)                  │   │   (Trust Wallet, BlueWallet) │
│ - 에어갭 지갑                    │   │ - 웹 지갑                      │
│   (인터넷 연결 안 됨)             │   │   (Coinbase, Blockchain.com)  │
└───────────────────────────────┘   └───────────────────────────────┘

일반적으로 대량의 비트코인은 콜드 월렛에,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소액은 핫 월렛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6. 비트코인 스크립트: 거래 조건 프로그래밍

6.1 스크립트 기본 개념

비트코인은 스크립트라는 간단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거래의 조건을 정의합니다. 이 언어는 스택 기반으로 작동하며, 제한된 명령어 세트를 가집니다.

6.2 스크립트 실행 과정

일반적인 P2PKH(Pay to Public Key Hash) 거래의 스크립트 실행 과정:

           해제 스크립트              |             잠금 스크립트
<서명> <공개키>                       | OP_DUP OP_HASH160 <공개키 해시> OP_EQUALVERIFY OP_CHECKSIG
                                   |
                   [스택에 쌓이는 순서]
┌─────────────┐                    |
│  <서명>      │                    |
└─────────────┘                    |
       ▼                           |
┌─────────────┐                    |
│  <서명>      │                    |
│  <공개키>     │                    |
└─────────────┘                    |
                                   |  OP_DUP 실행
                                   |  (공개키 복제)
       ▼                           |
┌─────────────┐                    |
│  <서명>      │                    |
│  <공개키>     │                    |
│  <공개키>     │                    |
└─────────────┘                    |
                                   |  OP_HASH160 실행
                                   |  (맨 위 공개키 해시화)
       ▼                           |
┌─────────────┐                    |
│  <서명>      │                    |
│  <공개키>     │                    |
│ <공개키해시>   │                    |
└─────────────┘                    |
                                   |  <공개키 해시> 푸시
       ▼                           |
┌─────────────┐                    |
│  <서명>      │                    |
│  <공개키>     │                    |
│ <공개키해시>   │                    |
│ <공개키해시>   │                    |
└─────────────┘                    |
                                   |  OP_EQUALVERIFY 실행
                                   |  (상위 두 항목 비교)
       ▼                           |
┌─────────────┐                    |
│  <서명>      │                    |
│  <공개키>     │                    |
└─────────────┘                    |
                                   |  OP_CHECKSIG 실행
                                   |  (서명 검증)
       ▼                           |
┌─────────────┐                    |
│  TRUE/FALSE │                    |
└─────────────┘                    |

이 과정에서 TRUE가 나오면 거래가 유효하고, FALSE가 나오면 거래가 거부됩니다.

6.3 다양한 스크립트 유형

비트코인은 다양한 유형의 거래 스크립트를 지원합니다:

  • P2PKH: 가장 기본적인 유형, 특정 공개 키의 소유자에게 비트코인 전송
  • P2SH: 더 복잡한 스크립트의 해시를 사용, 다중 서명 등에 활용
  • 다중 서명: 여러 개의 서명이 필요한 거래 (예: 3-of-5)
  • 시간 잠금: 특정 블록 높이나 시간이 지나기 전에는 비트코인을 사용할 수 없게 함

 

7. 비트코인 네트워크 구조

7.1 P2P(Peer-to-Peer) 네트워크

비트코인은 중앙 서버 없이 동등한 참여자(노드)들로 구성된 P2P 네트워크로 작동합니다:

                     ┌─────────┐
                  ┌──┤ 노드 A   ├──┐
                  │  └─────────┘  │
                  │               │
                  ▼               ▼
            ┌─────────┐     ┌─────────┐
         ┌──┤ 노드 B   ├─────┤ 노드 C   ├──┐
         │  └─────────┘     └─────────┘  │
         │                               │
         ▼                               ▼
   ┌─────────┐                     ┌─────────┐
┌──┤ 노드 D   ├─────────────────────┤ 노드 E   ├──┐
│  └─────────┘                     └─────────┘  │
│                                               │
└───────────────────┬───────────────────────────┘
                    │
                    ▼
               ┌─────────┐
               │ 노드 F   │
               └─────────┘

이 구조에서 각 노드는 다른 여러 노드와 연결되어 있어, 한 노드가 실패하더라도 네트워크는 계속 작동합니다. 이것이 비트코인의 견고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입니다.

7.2 노드의 유형

비트코인 네트워크에는 다양한 유형의 노드가 있습니다:

전체 노드 (Full Node)

블록체인의 전체 복사본을 보유하고, 모든 거래와 블록을 독립적으로 검증합니다. 네트워크의 핵심 참여자입니다.

경량 노드 (Light Node 또는 SPV 노드)

전체 블록체인을 다운로드하지 않고, 블록 헤더만 저장하여 거래를 검증합니다. 스마트폰과 같은 자원이 제한된 장치에 적합합니다.

채굴 노드 (Mining Node)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는 특수한 노드입니다. 높은 컴퓨팅 파워를 필요로 하며, 종종 채굴 풀을 형성합니다.

7.3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

비트코인 노드들은 특정 메시지 형식을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기본 메시지 구조:

┌───────────────────────────────────────────┐
│                  비트코인 메시지 구조          │
├─────────────┬─────────────────────────────┤
│ 필드         │ 설명                         │
├─────────────┼─────────────────────────────┤
│ Magic       │ 네트워크 식별자 (4바이트)         │
├─────────────┼─────────────────────────────┤
│ Command     │ 메시지 유형 (12바이트)          │
├─────────────┼─────────────────────────────┤
│ Length      │ 페이로드 길이 (4바이트)          │
├─────────────┼─────────────────────────────┤
│ Checksum    │ 페이로드의 체크섬 (4바이트)       │
├─────────────┼─────────────────────────────┤
│ Payload     │ 메시지 내용 (가변 길이)          │
└─────────────┴─────────────────────────────┘

주요 메시지 유형:

  • version: 노드 연결 시 버전 정보 교환
  • inv: 새로운 블록이나 거래 알림
  • getdata: 특정 블록이나 거래 요청
  • block: 블록 데이터 전송
  • tx: 거래 데이터 전송

 

8. 비트코인의 발전: 소프트 포크와 하드 포크

8.1 포크의 개념

비트코인 프로토콜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하고 변화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두 가지 주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
      │ 기존   │
      │ 규칙   │
      └───┬───┘
          │
 ┌────────┴────────┐
 │                 │
 ▼                 ▼
┌───────┐        ┌───────┐
│소프트   │        │하드    │
│포크    │        │포크    │
└───┬───┘        └───┬───┘
    │                │
    ▼                ▼
┌───────────┐    ┌───────────┐
│ 이전 규칙   │    │ 이전 규칙   │
│ 호환 가능   │    │호환 불가능   │
└───────────┘    └───────────┘

8.2 소프트 포크 (Soft Fork)

소프트 포크는 이전 버전의 노드도 새로운 블록을 유효하다고 인식할 수 있는 하위 호환성을 가진 변경입니다. 모든 노드가 동시에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없습니다.

주요 소프트 포크:

  • 세그윗(SegWit): 2017년 도입된 업그레이드로, 블록 용량을 늘리고 거래 수수료를 줄였습니다.
  • P2SH: 다중 서명과 같은 복잡한 스크립트를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업그레이드입니다.
  • 타폰트(Taproot): 2021년 활성화된 업그레이드로, 프라이버시와 스마트 계약 기능을 개선했습니다.

8.3 하드 포크 (Hard Fork)

하드 포크는 이전 규칙과 호환되지 않는 변경으로, 모든 노드가 업그레이드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네트워크가 분할될 수 있습니다.

주요 하드 포크:

  • 비트코인 캐시(BCH): 2017년 블록 크기 증가를 위해 비트코인에서 분리된 암호화폐입니다.
  • 비트코인 골드(BTG): ASIC 저항성을 위해 작업 증명 알고리즘을 변경한 포크입니다.
  • 비트코인 SV(BSV): 비트코인 캐시에서 다시 분리된 포크입니다.

8.4 주요 비트코인 업그레이드 타임라인

2009 ─── 2012 ─── 2015 ─── 2016 ─── 2017 ───── 2021 ───────▶
  │       │       │        │        │          │      
  │       │       │        │        │          └─ 타폰트(Taproot)
  │       │       │        │        │             (스마트 계약 개선)
  │       │       │        │        │          
  │       │       │        │        └─ 세그윗(SegWit)
  │       │       │        │           (확장성 개선)
  │       │       │        │        
  │       │       │        └─ 체크락타임베리파이
  │       │       │           (CLTV, 시간 잠금)
  │       │       │       
  │       │       └─ BIP66
  │       │          (서명 엄격화)
  │       │       
  │       └─ P2SH
  │          (다중 서명 개선)
  │
  └─ 비트코인 출시
     (제네시스 블록)

 

9. 비트코인의 확장성 솔루션: 레이어 2

9.1 확장성 문제

비트코인 메인 블록체인(레이어 1)은 초당 약 7개의 거래만 처리할 수 있어, 전 세계적인 결제 시스템으로 사용하기에는 제한적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이어 2’ 솔루션이 개발되었습니다.

9.2 라이트닝 네트워크 (Lightning Network)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비트코인 위에 구축된 ‘레이어 2’ 프로토콜로, 메인 블록체인 외부에서 거의 즉각적인 거래를 가능하게 합니다.

               ┌────────────────────┐
               │  비트코인 블록체인      │
               │     (레이어 1)       │
               └───────────┬────────┘
                           │
                           │  채널 열기/닫기 (온체인)
                           │
                           ▼
┌───────────────────────────────────────────────────────────┐
│                 라이트닝 네트워크                              │
│                    (레이어 2)                               │
│                                                           │
│    ┌─────┐        ┌─────┐        ┌─────┐        ┌─────┐   │
│    │노드A │◄──────►│노드B │◄──────►│노드C │◄──────►│노드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많은 즉각적인 거래 (오프체인)
                           │
                           ▼
                    ┌─────────────────┐
                    │  최종 결제 상태    │
                    └─────────────────┘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원리

  1. 결제 채널 개설: 두 사용자가 멀티시그 주소에 비트코인을 예치하여 양방향 결제 채널을 엽니다(온체인 거래).
  2. 오프체인 거래: 채널이 열린 상태에서 두 사용자는 실제 블록체인에 기록하지 않고도 무제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3. 라우팅: 직접 연결되지 않은 사용자 간에도 중간 노드를 통해 결제가 가능합니다.
  4. 채널 정산: 채널을 닫을 때 최종 잔액 상태가 블록체인에 기록됩니다(온체인 거래).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이점

  • 즉각적인 거래: 거래 확인에 평균 10분이 걸리는 메인넷과 달리, 거의 즉시 완료됩니다.
  • 매우 낮은 수수료: 메인 블록체인 거래보다 훨씬 저렴합니다.
  • 높은 확장성: 이론적으로 초당 수백만 개의 거래가 가능합니다.
  • 마이크로페이먼트: 매우 작은 금액의 거래도 경제적으로 가능합니다.

9.3 사이드체인 (Sidechains)

사이드체인은 비트코인 블록체인과 양방향으로 연결된 별도의 블록체인입니다. 비트코인을 사이드체인으로 이동시켜 추가 기능을 활용한 후, 다시 메인 체인으로 돌려보낼 수 있습니다.

예시:

  • 루트스톡(RSK): 비트코인에 스마트 계약 기능을 추가하는 사이드체인
  • 리퀴드 네트워크(Liquid Network): 거래소와 기관 간의 빠른 자산 이동을 위한 사이드체인

 

10. 비트코인의 기술적 과제와 미래

10.1 현재 직면한 기술적 과제

확장성

  • 현재 초당 약 7개 거래 처리 가능
  • 사용량 증가 시 네트워크 혼잡과 수수료 상승
  • 라이트닝 네트워크와 같은 레이어 2 솔루션 개발 중

프라이버시

  • 모든 거래가 공개적으로 기록됨
  • 가명성만 제공하며 완전한 익명성은 아님
  • 코인조인, 페이조인과 같은 프라이버시 향상 기술 개발 중

스마트 계약 제한

  • 비트코인의 스크립트 언어는 의도적으로 제한적
  • 타폰트 업그레이드로 일부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제한적
  • 사이드체인을 통한 확장 기능 개발 중

10.2 진행 중인 기술 개발

타폰트 (Taproot)

  • 2021년 11월 활성화
  • 복잡한 스마트 계약 사용 시 프라이버시 개선
  • 슈노르 서명을 통한 다중 서명 효율성 향상
  • 새로운 스크립트 언어(Tapscript) 도입

슈노르 서명 (Schnorr Signatures)

  • 기존 ECDSA 서명보다 효율적
  • 키 및 서명 집계 가능
  • 공간 효율성 및 프라이버시 개선

채널 팩토리 (Channel Factories)

  •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
  • 다수의 채널을 하나의 온체인 거래로 생성 가능
  • 네트워크 진입 비용 절감

10.3 비트코인의 기술적 미래 전망

단기 전망 (1-3년)

  •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지속적 성장
  • 타폰트 기반 응용 프로그램 개발
  • 프라이버시 개선 기술의 점진적 채택

중기 전망 (3-5년)

  • 채널 팩토리 및 라이트닝 2.0 개발
  • 향상된 스마트 계약 기능
  • 더 많은 사이드체인과의 상호 운용성

장기 전망 (5년 이상)

  • 양자 컴퓨팅 위협에 대응하는 새로운 암호화 방식
  • 글로벌 결제 인프라로서의 잠재력 실현
  • 국가 화폐 시스템과의 통합 가능성

 

글을 마무리 하며, 비트코인 기술의 핵심

비트코인은 단순한 디지털 화폐 그 이상입니다. 이것은 컴퓨터 과학, 암호학, 경제학, 게임 이론 등 여러 분야가 교차하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특히 중앙 권력 없이도 탈중앙화된 합의에 도달할 수 있는 독특한 해결책을 제시했습니다.

비트코인의 핵심 기술적 혁신:

  • 작업 증명을 통한 탈중앙화된 합의 메커니즘
  • 블록체인을 통한 변조 불가능한 거래 기록
  • 암호학적 키 쌍을 통한 디지털 소유권 증명
  • 제한된 공급량을 프로그래밍한 경제적 설계
  • 소프트포크를 통한 점진적 기술 발전 가능성

비트코인이 미래에 어떤 형태로 발전할지는 아직 불확실하지만, 그 기반 기술인 블록체인은 이미 금융, 공급망, 디지털 신원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진정한 가치는 아마도 중개자 없이도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데 있을 것입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