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WordPress)로 사이트를 만들었다면 이제 사람들이 내 사이트를 검색엔진에서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무리 좋은 콘텐츠를 만들어도 검색엔진이 내 사이트를 모른다면 방문자를 기대하기 어렵다. 나도 처음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시작했을 때 사이트가 검색 결과에 나타나지 않아 당황했던 기억이 있다. 사이트를 만든 후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주요 검색엔진에 내 사이트를 등록하는 것이다.

내 경험상 검색엔진 등록은 처음에는 복잡해 보이지만, 한 번 해보면 그리 어렵지 않다. 이 글에서는 구글(Google), 네이버(Naver), 다음 카카오(Daum Kakao), 빙(MS Bing) 등 주요 검색엔진에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한다. 사이트맵(Sitemap) 설정부터 소유권 확인까지, 내 사이트가 검색결과에 노출되기 위한 모든 과정을 담았다.

 

1. 검색 엔진 등록의 중요성

검색 엔진에 사이트를 등록하는 것은 단순히 노출을 위한 것만이 아니다. 다음과 같은 여러 장점들이 있다:

  • 검색 가시성 향상: 검색 결과에 표시될 확률이 높아진다.
  • 트래픽 증가: 검색 엔진을 통한 자연스러운 유입이 증가한다.
  • 사이트 분석: 서치콘솔 같은 도구로 사이트 성능을 분석할 수 있다.
  • 문제점 파악: 크롤링 오류나 모바일 최적화 문제를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다.
  • 색인 속도 향상: 새 콘텐츠가 더 빠르게 검색 결과에 반영된다.

 

2. 검색엔진 등록을 위한 사전작업 (워드프레스 SEO 플러그인으로 사이트맵 생성)

검색엔진 등록에 앞서 사이트맵을 먼저 생성해야 한다. 사이트맵은 검색엔진 크롤러에게 내 사이트의 구조를 알려주는 중요한 파일이다. 요즘은 Rank Math나 Yoast SEO, 젯팩(Jetpack)과 같은 플러그인으로 쉽게 사이트맵을 생성할 수 있다. 내가 주로 사용하는 Rank Math, Jetpack을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2-1. Rank Math로 사이트맵 설정하기

  •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에서 ‘플러그인 > 새로 추가’를 클릭한다

Rankmath-플러그인

  • 검색창에 ‘Rank Math’를 입력하고 설치 및 활성화한다.

Rankmath-플러그인

  • 설치 후 나타나는 설정 마법사를 따라 기본 설정을 완료한다.
  • Rank Math 메뉴에서 ‘사이트맵 설정’으로 이동한다.

Rankmath-사이트맵설정

  • ‘사이트맵 활성화’ 옵션을 켜고 저장한다.
  • 사이트맵 URL은 보통 `https://내사이트주소.com/sitemap_index.xml` 형태로 생성된다. 각 글이나, 페이지, 카테고리에도 사이트맵 생성이 가능하다.

 

2-2. Jetpack으로 사이트맵 설정하기

  •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에서 ‘플러그인 > 새로 추가’를 클릭한다.

젯팩-플러그인

  • 검색창에 ‘Jetpack’을 입력하고 설치 및 활성화한다.

젯팩

  • Jetpack 설정 페이지에서 ‘트래픽’ 탭으로 이동한다.

젯팩

  • ‘사이트맵’ 옵션을 찾아 활성화한다.

젯팩-사이트맵

  • 사이트맵 URL은 보통 `https://내사이트주소.com/sitemap.xml`로 설정된다.

이제 `https://내사이트주소.com/sitemap.xml`에 접속하면 사이트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주소는 나중에 검색엔진에 제출할 때 필요하니 기억해두자.

 

 

3. 대표 검색 엔진에 내 사이트 등록하기

이제 각 검색 엔진에 내 사이트를 등록해 보자.

 

3-1. 구글 서치콘솔(Google Search Console)에 사이트 등록하기

구글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색 엔진이다. 구글 서치콘솔에 사이트를 등록하면 구글 검색 결과에 내 사이트가 나타날 확률이 크게 높아진다.

3-1-1. 구글 서치콘솔 가입 및 속성 추가

  • [구글 서치콘솔](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에 접속한다.
  •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 페이지 왼쪽 상단의 ‘속성 추가’ 버튼을 클릭한다.

구글-서치콘솔-사이트추가

  • 아래 그림에서 오른쪽의 URL 접두어를 선택하고 사이트 URL을 입력한다. (예: https://myblog.com) 이걸 선택하는 것이 훨씬 쉽다.

구글-서치콘솔-URL접두어

  • ‘계속’ 버튼을 클릭한 뒤, 다음으로 사이트 소유권을 확인을 진행한다.

 

3-1-2. 사이트 소유권 확인

위에서 ‘URL 접두어’를 선택하고 본인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고 나면, 소유권을 확인하라는 창으로 넘어간다. 소유권 확인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장 편리한 방법 두 가지 중 선택하면 된다.

3-1-2-1. HTML 파일 업로드 방식
  • HTML 파일 업로드 방식으로 확인하고 싶은 경우, HTML 파일 다운로드 옵션을 선택하면 된다.

  • 제공되는 HTML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 sFTP나 호스팅 파일 관리자를 통해 이 파일을 웹사이트 루트 디렉토리에 업로드한다. (예를들어 : https://www.it-server-room.com/xxxxxxxx.xxxx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 업로드 후 서치콘솔로 돌아와서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그럼 바로 소유권이 확인 되며 서치콘솔에서 내 사이트 관리를 할 수 있다.

 

3-1-2-2. HTML 태그 방식 (워드프레스에서 가장 쉬운 방법)
  • 태그 방식으로 사이트 확인을 하고 싶으면, HTML 태그 옵션을 선택하면 된다.
  • 아래와 같이, 제공되는 메타 태그를 복사한다.

  • 그 뒤, 다시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로 이동한다.
  • Rank Math를 사용 중이라면, ‘일반설정’ -> ‘웹마스터 도구  메뉴에서 HTML 코드를 복사하여 ‘헤더에 HTML 태그 추가’ 옵션을 선택하고 코드를 붙여넣는다.

RankMath-웹마스터도구-구글서치콘솔

  • 변경 사항을 저장하고 서치콘솔에서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 이 과정을 거 완료하면 구글 서치 콘솔에서 내 사이트 소유가 확인된다. 드디어 기본 작업이 다 완료 된 것이다.

 

3-1-3. 사이트맵 제출하기

소유권이 확인되면 구글 서치콘솔에 사이트맵을 제출할 수 있다:

  • 구글 서치콘솔 왼쪽 메뉴에서 ‘사이트맵’을 클릭한다.
  • 사이트맵 URL 입력란에 앞서 설정한 사이트맵 URL을 입력한다. (보통 `sitemap.xml`)

구글-서치콘솔-사이트맵설정

  • ‘제출’ 버튼을 클릭한다.
  • 상태가 ‘성공’으로 표시되면 완료된 것이다.

 

3-1-4. 색인 생성 요청하기

새 사이트의 경우 구글에 색인 생성을 요청하는 것이 좋다.

  • 왼쪽 메뉴에서 ‘URL 검사’를 클릭한다.
  • 홈페이지 URL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한다.

구글-서치콘솔-색인데이터-가져오기

  • ‘색인 생성 요청’ 버튼을 클릭한다.

구글-서치콘솔-색인테스트

  • 확인 메시지가 나타나면 ‘요청 제출’을 클릭한다.

구글-서치콘솔-색인생성요청됨

이제 구글이 내 사이트를 크롤링하고 색인을 생성하기 시작할 것이다. 처음에는 시간이 걸릴 수 있으니 인내심을 갖고 기다리자. 이제 왼만한 설정은 다 끝났으며, 추가 적으로 별다르게 할 것 은 없다.

 

 

3-2.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사이트 등록하기

국내 검색 엔진 1위인 네이버에 사이트를 등록하는 것은 한국어 콘텐츠를 다루는 블로그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3-2-1.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가입하기

  •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https://searchadvisor.naver.com/)에 접속한다.
  • 네이버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 ‘웹마스터 도구’를 클릭한다.

네이버-웹마스터도구

  • ‘사이트 등록’ 버튼을 클릭한다.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져-웹마스터도구

  • 사이트 URL을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이 작업까지 끝났으면, 이제는 이 사이트가 내 소유인지 확인 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3-2-2. 사이트 소유권 확인

네이버도 여러 확인 방법을 제공하는데, HTML 파일과 메타 태그 방식이 대표적이다.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사이트소유확인

  • HTML 파일 업로드 방식: 제공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사이트 루트 디렉토리에 업로드한다. (예를들어 : https://www.it-server-room.com/xxxxxxxx.xxxx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 HTML 태그 방식: 제공된 메타 태그를 사이트 `<head>` 영역에 추가해도 된다.

워드프레스-도구-Head_Code

두가지 방식 중 편한 것으로 하면 되겠다.

 

3-2-3. 사이트맵 제출하기

  • 사이트가 등록되면 해당 사이트를 클릭한다.
  • 왼쪽 메뉴에서 ‘요청’ > ‘사이트맵 제출’을 클릭한다.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사이트맵제출

  • 사이트맵 URL을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이로서, 사이트맵 등록이 완료되었다.

 

3-2-4. RSS 제출하기 (추가 옵션)

네이버는 RSS 피드도 수집하므로 이를 제출하면 더 빠른 색인을 기대할 수 있다:

  • 왼쪽 메뉴에서 ‘요청’ > ‘RSS 제출’을 클릭한다.
  • RSS 피드 URL을 입력한다. (보통 `https://내사이트주소.com/feed/`)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RSS제출

  •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RSS 등록도 끝났다.

 

 

3-3. 다음(Daum) 웹마스터도구에 사이트 등록하기

다음(카카오)은 국내 두 번째로 큰 검색엔진이다. 등록 절차도 알아보자. 다음에 사이트를 등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3-3-1. 다음 웹마스터도구 접속 및 사이트 등록

  • 다음 웹마스터도구(https://webmaster.daum.net/)에 접속한다.
  • Daum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 로그인 하기 위하여 먼저 “PIN코드 발급받기”를 클릭한다.

다음-웹마스터도구-PIN코드발급받기

  • 내 사이트 URL을 입력하고  ‘PIN코드’를 입력한다. 일종의 비밀번호이다.

다음-웹마스터도구-PIN코드인증

  • 핀코드 발급이 완료되면, 제공된 코드를 “robots.txt”파일에 입력하여 저장해야 한다. 우선 아래와 같이 생성된 코드를 복사한다.

다음-웹마스터도구-PIN코드발급완료

  • robots.txt에 등록 : “Rank Math -> 일반설정 -> Robots.txt 편집”으로 들어가 “다음 웹마스터도구” 에서 PIN코드 발급 후 생성된 코드를 넣고 저장한다.

Rankmath-일반설정-Robots.txt편집

  • 그 후 “다음 웹마스터도구”로 돌아와, 인증시작하기를 누르면 인증이 된다.
  • 그리고 로그인 하면 된다. 참 쉽다. 별로 어렵지 않다.

 

3-3-2. 사이트 소유권 확인

다음으로 사이트 소유권 확인이 필요한데, 사이트 소유권 확인은 위 robots.txt에 인증코드를 넣고 확인 됨으로써 이미 끝났다. 추가적인 절차는 필요없다.

 

3-3-3. 사이트맵 및 RSS 피드 등록하기

  • 수집요청 메뉴로 가서, 사이트맵 URL을 입력하고 ‘수집요청’ 버튼을 클릭한다.
  • ‘RSS’ 메뉴로 이동하여 RSS 피드 주소를 입력한다. (보통 https://내사이트주소.com/feed/)

다음-웹마스터도구-RSS-사이트맵

이로서, RSS 등록까지 완료되었다.

 

 

3-4. 마이크로소프트 빙(Bing) 웹마스터 도구에 사이트 등록하기

빙은 해외에서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검색 엔진이다. 빙에 등록하면 야후 검색에도 동시에 노출되는 장점이 있다.

3-4-1. 빙 웹마스터 도구 가입 및 사이트 등록

  • [빙 웹마스터 도구](https://www.bing.com/webmasters/)에 접속한다.
  • Google이나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 ‘사이트 추가’ 버튼을 클릭한다.

빙-웹마스터도구-사이트추가

  • 이미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을 했으므로 편하게 가져와서 쓰자, 따로 불편한 등록 절차 없이 바로 쓸 수 있다. 아래와 같이 가져오기 버튼을 눌러 구글에서 등록하였던 계정정보를 그대로 끌어오자.

빙-웹마스터도구-google계정가져오기

빙은 별도로 설정할게 없다. 대부분 구글 서치콘솔에서 자동으로 끌어온다.

 

3-4-2. 사이트 소유권 확인

사이트 소유권 확인 역시, 빙은 구글 서치 콘솔 확인을 이미 완료했으므로 자동으로 인증이 되어 버린다. 그냥 편하게 쓰면 되겠다.

 

3-4-3. 사이트맵 제출하기

  • 소유권 확인 후, 왼쪽 메뉴에서 ‘사이트맵’을 클릭한다.
  • 사이트맵 URL을 입력하고 ‘제출’ 버튼을 클릭한다.

빙-웹마스터도구-사이트맵

 

이로서, 빙에 내 사이트 등록하는 과정도 모두 완료 되었다.

 

 

이상의 포스트에서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구글, 네이버, 다음, 빙 등 주요 검색 엔진에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이 과정이 처음에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한 번 설정해 놓으면 검색 엔진이 내 사이트를 지속적으로 크롤링하고 색인을 생성해 주므로, 초보 입장에서는 이후에 크게 할 것이 없다. 그냥 주기적으로 사이트맵 및 페이지가 수집 되는지만 체크하면 된다. 검색 엔진 등록은 SEO의 첫걸음일 뿐이다. 그 다음으로는 키워드 연구, 콘텐츠 최적화, 백링크 구축 등 다양한 SEO 전략을 실행해야 한다. 하지만 이 기본적인 등록 과정만으로도 내 사이트가 검색 결과에 노출될 확률은 크게 높아지므로, 검색 엔진 등록은 꼭 제대로 해 두어야 한다.

경험상 모든 검색 엔진에 사이트를 등록한 후 약 2주 정도가 지나면 검색 결과에 사이트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물론 경쟁이 치열한 키워드라면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인내심을 갖고 꾸준히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며 다음 설정들을 해나가자!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