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를 공부하다 보면 교과서에서는 절대 배울 수 없는 재미있는 표현들이 정말 많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찐 중국인들이 익숙하게 쓰는 관용표현(관용어, 습관용어, 신조어, 밈용어)  100가지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이 표현들은 단어 그대로의 뜻으로는 이해가 안 되지만, 중국인들의 일상 대화에서 정말 자주 등장하는 것들이랍니다.  관용표현과 더불어, 관련 단어 뜻과 병음, 설명과 예시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직장과 일상생활 관련 표현

1. 铁饭碗 (tiě fàn wǎn) – 철밥통

  • 铁 (tiě) – 철, 쇠
  • 饭 (fàn) – 밥, 식사
  • 碗 (wǎn) – 그릇, 공기

직역하면 ‘쇠로 만든 밥그릇’인데요, 절대 잘리지 않는 안정적인 직장을 의미해요. 한국의 ‘철밥통’과 비슷한 개념이죠. 공무원이나 국영기업 직원들을 두고 “他有个铁饭碗” (tā yǒu gè tiě fàn wǎn – 그는 철밥통이 있다)라고 말하곤 해요.

중국 계획경제 시절에는 국영기업 취직이 평생 직장을 보장받는다는 의미였어요. 그래서 밥그릇이 쇠로 만들어져 깨지지 않는다는 표현이 생겼답니다. 요즘엔 민영화와 경쟁 체제로 완전한 철밥통은 줄었지만, 여전히 많이 쓰이는 표현이에요.

2. 上班族 (shàng bān zú) – 직장인

  • 上 (shàng) – 위, 오르다, 출근하다
  • 班 (bān) – 근무, 반, 조
  • 族 (zú) – 부족, 집단, ~족

‘출근하는 부족/집단’이라는 뜻으로, 회사에 다니는 사람들을 통칭해요. ‘族’는 원래 ‘부족, 민족’을 의미하지만, 현대 중국어에서는 특정 집단을 나타낼 때 자주 사용해요. “我是上班族,每天都很忙” (wǒ shì shàng bān zú, měi tiān dōu hěn máng – 나는 직장인이라 매일 바빠요)처럼 쓰이죠.

3. 加班狗 (jiā bān gǒu) – 야근 개

  • 加 (jiā) – 더하다, 추가하다
  • 班 (bān) – 근무, 반
  • 狗 (gǒu) – 개

직역하면 ‘초과근무하는 개’인데, 항상 야근에 시달리는 직장인을 자조적으로 부르는 말이에요. 중국의 996 문화(아침 9시 출근, 저녁 9시 퇴근, 주 6일 근무)를 빗대어 만들어진 표현이죠. “今天又要做加班狗了” (jīn tiān yòu yào zuò jiā bān gǒu le – 오늘도 또 야근 개 신세구나)라고 자조적으로 말하는 경우가 많아요.

4. 打工人 (dǎ gōng rén) – 일하는 사람

  • 打 (dǎ) – 치다, 일하다
  • 工 (gōng) – 일, 노동
  • 人 (rén) – 사람

최근 몇 년 사이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신조어예요. 자신을 ‘노동자’라 부르며 고단한 직장 생활을 자조적으로 표현해요. “打工人,打工魂,打工都是人上人” (dǎ gōng rén, dǎ gōng hún, dǎ gōng dōu shì rén shàng rén – 일하는 사람, 일하는 혼, 일하는 건 모두 남보다 나은 사람)이라는 유행어와 함께 퍼졌어요.

5. 帕子还没一撇呢 (pà zi hái méi yī piě ne) – 아직 시작도 안 했어

  • 帕子 (pà zi) – 수건
  • 还 (hái) – 아직, 여전히
  • 没 (méi) – ~없다, ~하지 않다
  • 一 (yī) – 하나, 한
  • 撇 (piě) – 삐침(왼쪽으로 내려긋는 획)
  • 呢 (ne) – 어조사(강조, 의문)

직역하면 ‘수건에 한 획도 없다’인데, 뭔가 아직 시작도 하지 않았거나 진행 단계가 매우 초기임을 의미해요. 중국 서예에서 한 획도 그리지 않은 상태를 비유한 표현이죠. 지역에 따라 “草字还没一撇呢” (cǎo zì hái méi yī piě ne – 초서체에 한 획도 없다)라는 표현으로도 사용됩니다. “这个项目连帕子还没一撇呢,别着急” (zhè ge xiàng mù lián pà zi hái méi yī piě ne, bié zháo jí – 이 프로젝트는 아직 시작도 안 했으니 조급해하지 마세요)처럼 쓰여요.

6. 挤地铁 (jǐ dì tiě) – 지하철 타기 전쟁

  • 挤 (jǐ) – 밀다, 짜내다, 꽉 차다
  • 地铁 (dì tiě) – 지하철

직역하면 ‘지하철을 쥐어짜다’인데, 출퇴근 시간에 사람들로 가득 찬 지하철에 몸을 밀어 넣는 상황을 표현해요. 베이징이나 상하이 같은 대도시에서는 “每天挤地铁真是受罪” (měi tiān jǐ dì tiě zhēn shì shòu zuì – 매일 지하철 전쟁은 정말 고통이다)라는 말을 자주 들을 수 있어요.

7. 爬格子 (pá gé zi) – 글쓰기로 돈벌기

  • 爬 (pá) – 기어오르다, 올라가다
  • 格子 (gé zi) – 칸, 격자무늬

직역하면 ‘칸을 기어오르다’라는 뜻인데, 글을 쓰는 일을 하는 것을 의미해요. 원고지의 칸을 하나씩 채워나가는 모습을 비유한 표현이죠. 작가나 기자들이 “我就是靠爬格子为生” (wǒ jiù shì kào pá gé zi wéi shēng – 나는 글 쓰는 일로 생계를 유지한다)라고 말하곤 해요.

8. 拼爹 (pīn diē) – 아빠 빽

  • 拼 (pīn) – 맞대다, 겨루다, 승부하다
  • 爹 (diē) – 아버지

직역하면 ‘아버지로 승부하다’라는 뜻인데, 개인의 능력이 아닌 부모님의 배경과 인맥으로 성공하는 것을 비꼬는 표현이에요. “现在的社会不拼爹怎么行” (xiàn zài de shè huì bù pīn diē zěn me xíng – 요즘 사회는 아빠 빽 없이 어떻게 살아)라고 비꼬는 말로 쓰이기도 해요.

 

🤑 돈과 경제 관련 표현

9. 月光族 (yuè guāng zú) – 월급 다 쓰는 족

  • 月 (yuè) – 달, 월, 월급
  • 光 (guāng) – 빛, 다 써버리다
  • 族 (zú) – 부족, 집단, ~족

직역하면 ‘달빛 부족’인데, 매달 월급을 다 써버리는 사람들을 가리켜요. ‘月'(월)은 ‘월급’을, ‘光'(빛)은 ‘다 없어진다’는 의미로, 월급이 다 사라져 빛만 남았다는 재치 있는 표현이에요. “我是月光族,每个月都等着发工资” (wǒ shì yuè guāng zú, měi gè yuè dōu děng zhe fā gōng zī – 난 월광족이라 매달 월급만 기다려)라고 말하죠.

10. 啃老族 (kěn lǎo zú) – 부모 의존형 백수

  • 啃 (kěn) – 갉아먹다, 뜯어먹다
  • 老 (lǎo) – 늙은, 나이 든, 노인
  • 族 (zú) – 부족, 집단, ~족

직역하면 ‘노인을 갉아먹는 부족’인데, 성인이 되었는데도 부모님께 경제적으로 의존하는 사람들을 의미해요. “他都三十多岁了还在啃老” (tā dōu sān shí duō suì le hái zài kěn lǎo – 그는 30대인데도 여전히 부모님께 의존하고 있어)라고 비판적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아요.

11. 房奴 (fáng nú) – 집 노예

  • 房 (fáng) – 집, 방
  • 奴 (nú) – 노예, 종

직역하면 ‘집의 노예’인데, 높은 주택담보대출 때문에 매달 대출금 상환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가리켜요. “买了房就成了房奴,每个月工资一半都用来还贷款” (mǎi le fáng jiù chéng le fáng nú, měi gè yuè gōng zī yí bàn dōu yòng lái hái dài kuǎn – 집을 사서 집 노예가 됐어, 매달 월급의 절반이 대출 상환에 들어가)라고 자조적으로 말하곤 해요.

12. 蚁族 (yǐ zú) – 개미족

  • 蚁 (yǐ) – 개미
  • 族 (zú) – 부족, 집단, ~족

직역하면 ‘개미 부족’인데, 대학을 졸업했지만 저임금에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젊은 구직자들을 가리켜요. 개미처럼 작지만 열심히 일하는 모습을 빗댄 표현이죠. “大城市里的蚁族生活很艰难” (dà chéng shì lǐ de yǐ zú shēng huó hěn jiān nán – 대도시의 개미족 생활은 매우 힘들다)처럼 쓰여요.

13. 剁手党 (duò shǒu dǎng) – 지름신 당

  • 剁 (duò) – 자르다, 썰다
  • 手 (shǒu) – 손
  • 党 (dǎng) – 당, 단체

직역하면 ‘손목 자르는 당’인데, 충동구매를 자제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재미있게 표현한 말이에요. 쇼핑 후에 후회하며 ‘손목을 잘라버리고 싶다’는 심정에서 유래했어요. “双十一我又成了剁手党” (shuāng shí yī wǒ yòu chéng le duò shǒu dǎng – 쌍십일(11월 11일 중국 최대 쇼핑데이)에 난 또 지름신 당원이 됐어)라고 농담처럼 말해요.

14. 钱荒 (qián huāng) – 월말 금전 부족

  • 钱 (qián) – 돈, 금전
  • 荒 (huāng) – 황폐하다, 가뭄

직역하면 ‘돈 가뭄’인데, 돈이 부족한 상황, 특히 월말에 돈이 떨어진 상태를 말해요. “每到月底就会钱荒” (měi dào yuè dǐ jiù huì qián huāng – 매번 월말이 되면 돈 가뭄이 찾아와)라고 자조적으로 표현하죠.

15. 吃土 (chī tǔ) – 빈털터리 되다

  • 吃 (chī) – 먹다
  • 土 (tǔ) – 흙, 땅

직역하면 ‘흙을 먹다’인데, 돈을 다 써버려서 아무것도 살 수 없는 상태를 표현해요. “这个月买了新手机,接下来只能吃土了” (zhè gè yuè mǎi le xīn shǒu jī, jiē xià lái zhǐ néng chī tǔ le – 이번 달 새 핸드폰을 사서 앞으로는 흙만 먹어야겠다)라고 과장되게 말하곤 해요.

 

🥰 인간관계 관련 표현

16. 塑料姐妹花 (sù liào jiě mèi huā) – 가짜 자매

  • 塑料 (sù liào) – 플라스틱
  • 姐妹 (jiě mèi) – 자매
  • 花 (huā) – 꽃

직역하면 ‘플라스틱 자매꽃’인데, 겉으로는 친한 척하지만 실제로는 깊은 우정이 없는 관계를 비꼬는 표현이에요. 인조 꽃처럼 가짜라는 의미죠. “她们就是塑料姐妹花,背后互相说坏话” (tā men jiù shì sù liào jiě mèi huā, bèi hòu hù xiāng shuō huài huà – 그들은 가짜 자매야, 뒤에서는 서로 험담해)라고 쓰여요.

17. 单身狗 (dān shēn gǒu) – 솔로 개

  • 单身 (dān shēn) – 독신, 솔로
  • 狗 (gǒu) – 개

직역하면 ‘독신 개’인데, 연애를 못하는 솔로들을 자조적으로 부르는 말이에요. 특히 발렌타인데이나 중국의 칠석(七夕) 같은 연인들의 날에 더 많이 쓰여요. “又是七夕,又是单身狗” (yòu shì qī xī, yòu shì dān shēn gǒu – 또 칠석이네, 또 솔로 개네)라고 자조적으로 말하죠.

18. 舔狗 (tiǎn gǒu) – 헌신짝 개

  • 舔 (tiǎn) – 핥다, 빨다
  • 狗 (gǒu) – 개

직역하면 ‘핥는 개’인데, 좋아하는 사람에게 지나치게 헌신하고 아부하지만 상대방은 관심이 없는 사람을 말해요. “做舔狗没有结果,还是放弃吧” (zuò tiǎn gǒu méi yǒu jié guǒ, hái shì fàng qì ba – 헌신짝 개는 결과가 없으니 포기하는 게 좋아)라는 식으로 쓰여요.

19. 备胎 (bèi tāi) – 예비 남친/여친

  • 备 (bèi) – 준비하다, 대비하다
  • 胎 (tāi) – 태아, 타이어

직역하면 ‘스페어 타이어’인데, 주 연애 대상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해 준비해둔 예비 연인을 의미해요. “他把我当备胎已经好几年了” (tā bǎ wǒ dāng bèi tāi yǐ jīng hǎo jǐ nián le – 그는 나를 몇 년 동안 예비 타이어로 여겨왔어)라고 불만스럽게 말하곤 해요.

20. 绿茶婊 (lǜ chá biǎo) – 그린티 비치

  • 绿茶 (lǜ chá) – 녹차, 그린티
  • 婊 (biǎo) – 나쁜 여자, 비속어

직역하면 ‘녹차 나쁜 여자’인데, 겉으로는 순수하고 착한 척하지만 실제로는 계산적이고 교활한 여성을 비꼬는 말이에요. “小心那个女生,她是典型的绿茶婊” (xiǎo xīn nà gè nǚ shēng, tā shì diǎn xíng de lǜ chá biǎo – 저 여자 조심해, 전형적인 그린티 비치야)라고 경고하는 식으로 쓰여요.

 

📱 인터넷과 소셜미디어 관련 표현

21. 打酱油 (dǎ jiàng yóu) – 그냥 지나가는 중

  • 打 (dǎ) – 치다, 사다
  • 酱油 (jiàng yóu) – 간장

직역하면 ‘간장을 사러 가다’인데, 어떤 일에 관심이 없거나 참여하고 싶지 않을 때 쓰는 표현이에요. 인터넷 댓글에서 “我只是来打酱油的” (wǒ zhǐ shì lái dǎ jiàng yóu de – 난 그냥 지나가는 사람일 뿐이야)라고 쓰며 중립적인 입장임을 표현하곤 해요.

22. 吃瓜群众 (chī guā qún zhòng) – 구경꾼

  • 吃 (chī) – 먹다
  • 瓜 (guā) – 수박, 오이 등의 과일
  • 群众 (qún zhòng) – 대중, 군중

직역하면 ‘수박 먹는 대중’인데, 남의 일이나 스캔들을 구경만 하는 사람들을 의미해요. 마치 수박을 먹으며 구경하는 것처럼 재미있게 지켜본다는 뉘앙스가 있죠. “我就是个吃瓜群众,不发表意见” (wǒ jiù shì gè chī guā qún zhòng, bù fā biǎo yì jiàn – 난 그냥 구경꾼일 뿐, 의견은 없어)라고 말해요.

23. 盖楼 (gài lóu) – 댓글 달기

  • 盖 (gài) – 덮다, 짓다
  • 楼 (lóu) – 건물, 층

직역하면 ‘건물을 짓다’인데, 인터넷 댓글을 계속해서 다는 것을 의미해요. 댓글이 쌓이면서 마치 건물이 올라가는 것 같다고 해서 생긴 표현이죠. “这个帖子盖了好几百层楼了” (zhè gè tiě zi gài le hǎo jǐ bǎi céng lóu le – 이 게시물은 이미 수백 개의 댓글이 달렸어)라고 말해요.

24. 潜水 (qián shuǐ) – 잠수타기

  • 潜 (qián) – 잠수하다, 숨다
  • 水 (shuǐ) – 물

직역하면 ‘잠수하다’인데, 인터넷 커뮤니티나 채팅방에서 글을 올리거나 댓글을 달지 않고 구경만 하는 행동을 말해요. “我在那个论坛潜水好几年了” (wǒ zài nà gè lùn tán qián shuǐ hǎo jǐ nián le – 난 그 포럼에서 몇 년 동안 잠수만 타고 있어)라고 말하죠.

25. 秒删 (miǎo shān) – 초삭제

  • 秒 (miǎo) – 초(시간 단위)
  • 删 (shān) – 삭제하다

직역하면 ‘초 단위로 삭제하다’인데, SNS에 글이나 사진을 올렸다가 매우 빠르게 삭제하는 행동을 말해요. “我发了一条朋友圈然后秒删了” (wǒ fā le yī tiáo péng yǒu quān rán hòu miǎo shān le – 친구들에게 메시지를 보냈다가 바로 삭제했어)라고 쓰이죠.

 

🔥 트렌드와 유행 표현

26. 佛系 (fó xì) – 불系 (참선 모드)

  • 佛 (fó) – 부처, 불교
  • 系 (xì) – 계통, 시스템

직역하면 ‘부처님 계통’인데, 모든 일에 너무 연연하지 않고 초연한 태도를 가진 사람들을 가리켜요. “我现在是佛系生活,不强求什么” (wǒ xiàn zài shì fó xì shēng huó, bù qiáng qiú shén me – 나는 요즘 참선 모드로 살고 있어, 뭘 강요하지 않아)라고 말해요.

27. 内卷 (nèi juǎn) – 내부 경쟁

  • 内 (nèi) – 내부, 안
  • 卷 (juǎn) – 말다, 감다, 복잡하게 얽히다

원래 인류학 용어로 사회가 발전 없이 내부적으로 복잡해지는 현상을 가리키는데, 최근에는 과도한 경쟁 상태를 의미하는 말로 쓰여요. “现在求职市场太内卷了” (xiàn zài qiú zhí shì chǎng tài nèi juǎn le – 요즘 취업 시장은 너무 경쟁이 심해)라고 말하죠.

28. 躺平 (tǎng píng) – 눕기 운동

  • 躺 (tǎng) – 눕다
  • 平 (píng) – 평평하다, 평온하다

직역하면 ‘평평하게 눕다’인데, 경쟁과 성공에 대한 사회적 압박에 저항하며 최소한의 노력으로 살아가는 생활 방식을 의미해요. “我决定躺平了,不买房不结婚” (wǒ jué dìng tǎng píng le, bù mǎi fáng bù jié hūn – 나는 눕기로 결심했어, 집도 안 사고 결혼도 안 할 거야)라고 말해요.

29. 打call (dǎ call) – 응원하다

  • 打 (dǎ) – 치다, 하다
  • call (kǒu) – 외국어 차용 ‘콜’, 불러서 응원하다

직역하면 ‘콜을 치다’인데, 열렬히 응원하거나 지지한다는 의미예요. K-pop 팬덤 문화에서 유래했다고 해요. “我们一起为中国队打call” (wǒ men yī qǐ wèi zhōng guó duì dǎ call – 우리 함께 중국 팀을 응원하자)라고 쓰여요.

30. 666 (liù liù liù) – 대단해!

  • 六 (liù) – 숫자 6

중국어로 6(liù)의 발음이 ‘능숙하다(溜, liū)’와 비슷해서, 누군가 뛰어난 실력을 보여줬을 때 칭찬하는 표현이 됐어요. “你这操作真是666” (nǐ zhè cāo zuò zhēn shì liù liù liù – 너 이 실력 정말 대단해)라고 온라인 게임이나 소셜미디어에서 자주 쓰여요.

 

🤔 심리와 감정 표현

31. 心塞 (xīn sāi) – 가슴이 답답하다

  • 心 (xīn) – 마음, 심장
  • 塞 (sāi) – 막히다, 채우다

직역하면 ‘마음이 막히다’인데, 너무 속상하거나 답답한 감정을 표현해요. “看到这个消息真让人心塞” (kàn dào zhè gè xiāo xī zhēn ràng rén xīn sāi – 이 소식을 보니 정말 가슴이 답답하다)라고 쓰여요.

32. 扎心了 (zhā xīn le) – 가슴을 찔렀다

  • 扎 (zhā) – 찌르다, 찔러 넣다
  • 心 (xīn) – 마음, 심장
  • 了 (le) – 완료를 나타내는 어조사

직역하면 ‘심장을 찔렀다’인데, 누군가의 말이 자신의 약점이나 아픈 곳을 정확히 짚어 마음이 아플 때 쓰는 표현이에요. “你这句话真是扎心了” (nǐ zhè jù huà zhēn shì zhā xīn le – 네 이 말 정말 가슴을 찔렀다)라고 말해요.

33. emmm (en en en) – 음…

  • 嗯 (en) – 음, 응(입으로 내는 소리)

고민하거나 난처한 상황에서 말을 못 잇고 있을 때 쓰는 표현이에요. 한국어의 ‘음…’과 비슷한 역할을 해요. 인터넷 문화에서 생겨난 표현으로, “emmm,我不知道该怎么回答” (emmm, wǒ bù zhī dào gāi zěn me huí dá – 음… 어떻게 대답해야 할지 모르겠어)처럼 쓰여요.

34. 尬聊 (gà liáo) – 어색한 대화

  • 尬 (gà) – 어색하다
  • 聊 (liáo) – 이야기하다, 대화하다

직역하면 ‘어색하게 대화하다’인데, 대화가 잘 이어지지 않고 어색한 상황을 의미해요. “我们俩就在那尬聊了半个小时” (wǒ men liǎ jiù zài nà gà liáo le bàn gè xiǎo shí – 우리 둘은 거기서 반 시간 동안 어색하게 대화했어)라고 말해요.

35. 社死 (shè sǐ) – 사회적 죽음

  • 社 (shè) – 사회, 단체
  • 死 (sǐ) – 죽다

직역하면 ‘사회적으로 죽다’인데, 공개적으로 매우 창피한 상황을 겪어 사회생활을 포기하고 싶을 정도의 민망함을 표현해요. “我在会议上说错话,真是社死了” (wǒ zài huì yì shàng shuō cuò huà, zhēn shì shè sǐ le – 회의에서 말실수를 해서 정말 사회적 죽음을 경험했어)라고 말하죠.

 

🍽️ 음식과 식문화 관련 표현

36. 吃货 (chī huò) – 먹보

  • 吃 (chī) – 먹다
  • 货 (huò) – 물건, 상품

직역하면 ‘먹는 물건’인데, 음식을 매우 좋아하고 맛있는 것을 찾아다니는 사람을 의미해요. “我就是个吃货,走到哪都想尝当地美食” (wǒ jiù shì gè chī huò, zǒu dào nǎ dōu xiǎng cháng dāng dì měi shí – 난 그냥 먹보야, 어디를 가든 현지 음식을 맛보고 싶어)라고 말해요.

37. 撑死 (chēng sǐ) – 배가 터질 것 같다

  • 撑 (chēng) – 부풀다, 팽창하다
  • 死 (sǐ) – 죽다

직역하면 ‘터져 죽다’인데, 너무 많이 먹어서 배가 부른 상태를 과장되게 표현한 말이에요. “我吃得撑死了,动不了了” (wǒ chī de chēng sǐ le, dòng bù liǎo le – 너무 배불러서 움직일 수가 없어)라고 말해요.

38. 打包 (dǎ bāo) – 포장해 가다

  • 打 (dǎ) – 치다, 하다
  • 包 (bāo) – 싸다, 포장하다

직역하면 ‘포장하다’인데, 식당에서 남은 음식을 싸 가는 것을 의미해요. “这个吃不完,我要打包带走” (zhè gè chī bù wán, wǒ yào dǎ bāo dài zǒu – 이건 다 못 먹겠으니 포장해서 가져갈게요)라고 말하죠.

39. 走肠 (zǒu cháng) – 음식이 술술 넘어가다

  • 走 (zǒu) – 걷다, 가다
  • 肠 (cháng) – 창자, 장(腸)

직역하면 ‘장(腸)을 걷다’인데, 음식이 너무 맛있어서 절로 넘어간다는 의미예요. 이 표현은 지역에 따라 사용 빈도에 차이가 있으며, 북방 지역에서 더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 “这个菜太好吃了,简直是走肠” (zhè gè cài tài hǎo chī le, jiǎn zhí shì zǒu cháng – 이 요리 너무 맛있어서 술술 넘어가네)라고 말해요. 비슷한 표현으로 “下饭” (xià fàn – 밥도둑)도 자주 사용됩니다.

40. 下饭 (xià fàn) – 밥도둑

  • 下 (xià) – 내려가다
  • 饭 (fàn) – 밥, 식사

직역하면 ‘밥을 내려가게 하다’인데, 밥과 함께 먹으면 특히 맛있는 반찬을 가리켜요. “这道菜真下饭,我多吃了两碗米饭” (zhè dào cài zhēn xià fàn, wǒ duō chī le liǎng wǎn mǐ fàn – 이 요리는 정말 밥도둑이야, 밥을 두 그릇이나 더 먹었어)라고 말하죠.

 

💃 사회생활과 인간관계 표현

41. 酒桌文化 (jiǔ zhuō wén huà) – 술자리 문화

  • 酒 (jiǔ) – 술, 술을 마시다
  • 桌 (zhuō) – 테이블, 책상
  • 文化 (wén huà) – 문화

중국의 비즈니스나 사회적 관계에서 중요한 술자리 문화를 가리켜요. “在中国做生意必须了解酒桌文化” (zài zhōng guó zuò shēng yì bì xū liǎo jiě jiǔ zhuō wén huà – 중국에서 사업하려면 술자리 문화를 알아야 해)라고 말해요.

42. 给面子 (gěi miàn zi) – 체면을 세워주다

  • 给 (gěi) – 주다
  • 面子 (miàn zi) – 체면, 얼굴

직역하면 ‘얼굴을 주다’인데, 상대방의 체면이나 자존심을 지켜주는 행동을 의미해요. “他邀请你去,你最好给他面子参加一下” (tā yāo qǐng nǐ qù, nǐ zuì hǎo gěi tā miàn zi cān jiā yī xià – 그가 너를 초대했으니, 그의 체면을 세워주기 위해 참석하는 게 좋아)라고 조언하죠.

43. 来事儿 (lái shì r) – 일을 만들다

  • 来 (lái) – 오다
  • 事儿 (shì r) – 일, 사건(경성 방언)

직역하면 ‘일이 오다’인데, 문제를 일으키거나 귀찮은 상황을 만드는 것을 의미해요. “别来事儿了,安静点” (bié lái shì r le, ān jìng diǎn – 문제 만들지 말고 조용히 해)라고 말하죠.

44. 拉关系 (lā guān xì) – 인맥 활용하기

  • 拉 (lā) – 끌다, 당기다
  • 关系 (guān xì) – 관계, 인맥

직역하면 ‘관계를 끌어당기다’인데, 개인적인 인맥을 통해 도움을 구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말해요. “没办法,只能拉关系解决这个问题了” (méi bàn fǎ, zhǐ néng lā guān xì jiě jué zhè gè wèn tí le – 어쩔 수 없네, 인맥을 동원해서 이 문제를 해결해야겠어)라고 말하죠.

45. 占便宜 (zhàn piàn yi) – 이득 보다

  • 占 (zhàn) – 차지하다
  • 便宜 (piàn yi) – 싸다, 저렴하다

직역하면 ‘싼 가격을 차지하다’인데, 상황에서 이득을 취하거나 덕을 보는 것을 의미해요. “别总想占便宜,要懂得付出” (bié zǒng xiǎng zhàn piàn yi, yào dǒng de fù chū – 항상 이득만 보려 하지 말고, 베풀 줄도 알아야 해)라고 조언하기도 해요.

 

🏃‍♂️ 일상생활 표현

46. 掉坑 (diào kēng) – 함정에 빠지다

  • 掉 (diào) – 떨어지다, 빠지다
  • 坑 (kēng) – 구덩이, 함정

직역하면 ‘구덩이에 빠지다’인데, 실수하거나 속아서 불리한 상황에 처하는 것을 의미해요. “我买到了假货,掉坑了” (wǒ mǎi dào le jiǎ huò, diào kēng le – 가짜 상품을 샀어, 함정에 빠졌네)라고 말해요.

47. 划不来 (huá bù lái) – 가성비가 안 좋다

  • 划 (huá) – 젓다, 당기다, 계산하다
  • 不 (bù) – ~않다
  • 来 (lái) – 오다

직역하면 ‘당겨도 오지 않는다’인데, 투자한 것에 비해 얻는 이익이 적어 가치가 없음을 의미해요. “这么远跑过去吃那家店,划不来” (zhè me yuǎn pǎo guò qù chī nà jiā diàn, huá bù lái – 그렇게 멀리 가서 그 가게에서 먹는 것은 가성비가 안 좋아)라고 말하죠.

48. 抢沙发 (qiǎng shā fā) – 첫 댓글 차지하기

  • 抢 (qiǎng) – 빼앗다, 차지하다
  • 沙发 (shā fā) – 소파

직역하면 ‘소파를 빼앗다’인데, 인터넷 게시물에 가장 먼저 댓글을 다는 것을 의미해요. “我终于抢到了沙发” (wǒ zhōng yú qiǎng dào le shā fā – 드디어 첫 댓글을 차지했다)라고 자랑하듯 말하죠.

49. 打酱油 (dǎ jiàng yóu) – 그냥 지나가는 중

  • 打 (dǎ) – 치다, 사다
  • 酱油 (jiàng yóu) – 간장

직역하면 ‘간장을 사러 가다’인데, 어떤 일에 깊이 관여하지 않고 구경만 하는 것을 의미해요. “这件事我不发表意见,我就是来打酱油的” (zhè jiàn shì wǒ bù fā biǎo yì jiàn, wǒ jiù shì lái dǎ jiàng yóu de – 이 일에 대해 의견이 없어, 난 그냥 지나가는 사람일 뿐이야)라고 말해요.

50. 吃醋 (chī cù) – 질투하다

  • 吃 (chī) – 먹다
  • 醋 (cù) – 식초

직역하면 ‘식초를 먹다’인데, 연인이나 친구가 다른 사람과 친하게 지내는 것을 보고 질투하는 감정을 표현해요. “看到男友和别的女生说笑,我就吃醋了” (kàn dào nán yǒu hé bié de nǚ shēng shuō xiào, wǒ jiù chī cù le – 남자친구가 다른 여자와 웃으며 대화하는 걸 보고 질투했어)라고 말하죠.

51. 豆腐渣工程 (dòu fu zhā gōng chéng) – 부실공사

  • 豆腐 (dòu fu) – 두부
  • 渣 (zhā) – 찌꺼기
  • 工程 (gōng chéng) – 공사, 프로젝트

직역하면 ‘두부 찌꺼기 공사’인데, 부실하게 진행된 건설 공사나 프로젝트를 비판하는 표현이에요. 두부 찌꺼기처럼 쉽게 부서진다는 의미죠. “这栋楼是豆腐渣工程,住着不安全” (zhè dòng lóu shì dòu fu zhā gōng chéng, zhù zhe bù ān quán – 이 건물은 부실공사라 살기에 안전하지 않아)라고 말해요.

52. 拍马屁 (pāi mǎ pì) – 아부하다

  • 拍 (pāi) – 두드리다, 치다
  • 马 (mǎ) – 말
  • 屁 (pì) – 방귀, 엉덩이

직역하면 ‘말의 엉덩이를 두드리다’인데, 윗사람에게 과도하게 아부하는 행동을 의미해요. “他总是拍领导的马屁” (tā zǒng shì pāi lǐng dǎo de mǎ pì – 그는 항상 상사에게 아부해)라고 비판적으로 말하곤 해요.

53. 开后门 (kāi hòu mén) – 뒷문으로 들어가다

  • 开 (kāi) – 열다
  • 后门 (hòu mén) – 뒷문

직역하면 ‘뒷문을 열다’인데, 공식적인 절차를 무시하고 인맥이나 뇌물 등을 통해 부당한 혜택을 받는 것을 의미해요. “他是靠开后门进的这家公司” (tā shì kào kāi hòu mén jìn de zhè jiā gōng sī – 그는 뒷문으로 이 회사에 들어갔어)라고 비판적으로 말하죠.

54. 炒鱿鱼 (chǎo yóu yú) – 해고당하다

  • 炒 (chǎo) – 볶다, 짜르다
  • 鱿鱼 (yóu yú) – 오징어

직역하면 ‘오징어 볶음’인데, 직장에서 해고당하는 것을 의미해요. 오징어가 볶아질 때 말려 올라가는 모습이 짐을 싸서 떠나는 것과 비슷하다고 해서 생긴 표현이라고 해요. “他因为迟到被炒鱿鱼了” (tā yīn wèi chí dào bèi chǎo yóu yú le – 그는 지각 때문에 해고당했어)라고 말하죠.

55. 放鸽子 (fàng gē zi) – 약속을 파토내다

  • 放 (fàng) – 풀어놓다, 놓아주다
  • 鸽子 (gē zi) – 비둘기

직역하면 ‘비둘기를 날리다’인데, 약속을 지키지 않고 상대방을 기다리게 만드는 행동을 의미해요. “他又放我鸽子,说好的电影没看成” (tā yòu fàng wǒ gē zi, shuō hǎo de diàn yǐng méi kàn chéng – 그가 또 나를 바람맞혔어, 약속했던 영화를 못 보게 됐어)라고 불만스럽게 말하곤 해요.

 

🧠 생각과 판단 관련 표현

56. 脑洞大开 (nǎo dòng dà kāi) – 상상력이 넘치다

  • 脑 (nǎo) – 뇌, 머리
  • 洞 (dòng) – 구멍, 동굴
  • 大 (dà) – 크다
  • 开 (kāi) – 열다, 열리다

직역하면 ‘머리에 큰 구멍이 열리다’인데, 창의적이고 독특한 아이디어나 상상력이 풍부함을 의미해요. “这个故事情节真是脑洞大开” (zhè gè gù shì qíng jié zhēn shì nǎo dòng dà kāi – 이 스토리 설정은 정말 상상력이 넘쳐)라고 말하죠.

57. 心有灵犀 (xīn yǒu líng xī) – 막역한 사이

  • 心 (xīn) – 마음, 심장
  • 有 (yǒu) – 있다, 가지다
  • 灵 (líng) – 영묘한, 영적인
  • 犀 (xī) – 코뿔소

직역하면 ‘마음에 영묘한 코뿔소 뿔이 있다’인데, 서로 말하지 않아도 마음이 통하는 사이를 의미해요. “我们俩太心有灵犀了,想到一块去了” (wǒ men liǎ tài xīn yǒu líng xī le, xiǎng dào yī kuài qù le – 우리 둘은 너무 통하네, 같은 생각을 했어)라고 말해요.

58. 一言难尽 (yī yán nán jìn) – 말로 다 못할 정도

  • 一 (yī) – 하나, 한
  • 言 (yán) – 말, 언어
  • 难 (nán) – 어렵다
  • 尽 (jìn) – 다하다, 끝내다

직역하면 ‘한마디로 다 말하기 어렵다’는 뜻인데, 상황이 복잡해서 간단히 설명하기 어려움을 표현해요. “问我最近怎么样?一言难尽啊” (wèn wǒ zuì jìn zěn me yàng? yī yán nán jìn a – 요즘 어떻게 지내냐고? 말로 다 표현하기 어려워)라고 말하죠.

59. 无语 (wú yǔ) – 할 말이 없다

  • 无 (wú) – 없다
  • 语 (yǔ) – 말, 어휘

직역하면 ‘말이 없다’는 뜻인데, 어떤 상황이나 행동에 너무 당황하거나 어이없어서 할 말을 잃은 상태를 표현해요. “看到这个消息,我真是无语了” (kàn dào zhè gè xiāo xī, wǒ zhēn shì wú yǔ le – 이 소식을 보고 정말 할 말이 없네)라고 말해요.

60. 看开 (kàn kāi) – 마음을 넓게 갖다

  • 看 (kàn) – 보다
  • 开 (kāi) – 열다, 넓히다

직역하면 ‘보고 열다’는 뜻인데, 상황을 받아들이고 마음을 편하게 가지라는 조언을 의미해요. “事情已经这样了,你要看开点” (shì qíng yǐ jīng zhè yàng le, nǐ yào kàn kāi diǎn – 일이 이미 이렇게 됐으니, 마음을 넓게 가져야 해)라고 말하죠.

 

💪 노력과 성취 관련 표현

61. 加油 (jiā yóu) – 힘내라

  • 加 (jiā) – 더하다
  • 油 (yóu) – 기름

직역하면 ‘기름을 넣다’는 뜻인데, 누군가를 응원하거나 격려할 때 쓰는 표현이에요. 자동차에 기름을 넣어 더 잘 달릴 수 있게 한다는 의미에서 유래했어요. “考试加油!” (kǎo shì jiā yóu – 시험 힘내!)라고 응원의 메시지를 전하곤 해요.

62. 开窍 (kāi qiào) – 깨닫다

  • 开 (kāi) – 열다
  • 窍 (qiào) – 구멍, 요령

직역하면 ‘구멍이 열리다’는 뜻인데, 갑자기 이해하거나 깨달음을 얻는 것을 의미해요. “他终于开窍,明白了这个道理” (tā zhōng yú kāi qiào, míng bái le zhè gè dào lǐ – 그는 마침내 깨달아서 이 이치를 이해했어)라고 말하죠.

63. 开挂 (kāi guà) – 핵 쓰다

  • 开 (kāi) – 열다, 켜다
  • 挂 (guà) – 걸다, 플러그인

직역하면 ‘플러그인을 열다’는 뜻인데, 게임 용어에서 시작해 현실에서도 누군가가 비현실적으로 뛰어난 능력을 보일 때 쓰는 표현이에요. “这个人学习太厉害了,简直是开挂” (zhè gè rén xué xí tài lì hài le, jiǎn zhí shì kāi guà – 이 사람 공부 실력이 너무 대단해, 정말 핵을 쓰는 것 같아)라고 말해요.

64. 撞墙 (zhuàng qiáng) – 벽에 부딪히다

  • 撞 (zhuàng) – 부딪히다
  • 墙 (qiáng) – 벽, 담

직역 그대로 ‘벽에 부딪히다’는 뜻인데, 어려운 문제에 직면하거나 진전이 없는 상황을 의미해요. “我最近学习撞墙了,怎么也提高不了” (wǒ zuì jìn xué xí zhuàng qiáng le, zěn me yě tí gāo bù liǎo – 요즘 공부가 벽에 부딪혔어, 아무리 해도 실력이 늘지 않아)라고 말하죠.

65. 破冰 (pò bīng) – 얼음을 깨다

  • 破 (pò) – 깨다, 파괴하다
  • 冰 (bīng) – 얼음

직역 그대로 ‘얼음을 깨다’는 뜻인데, 어색한 분위기를 깨고 관계의 시작을 여는 것을 의미해요. “聚会开始时大家很安静,直到有人讲了个笑话才破冰” (jù huì kāi shǐ shí dà jiā hěn ān jìng, zhí dào yǒu rén jiǎng le gè xiào huà cái pò bīng – 모임 시작할 때 모두 조용했는데, 누군가 농담을 해서야 얼음이 깨졌어)라고 말해요.

 

🏠 주거와 생활환경 관련 표현

66. 蜗居 (wō jū) – 달팽이집

  • 蜗 (wō) – 달팽이
  • 居 (jū) – 살다, 거주하다

직역하면 ‘달팽이 거주’라는 뜻인데, 좁고 비싼 도시의 작은 집에 사는 것을 의미해요. “北京房价太高了,我们只能蜗居” (běi jīng fáng jià tài gāo le, wǒ men zhǐ néng wō jū – 베이징 집값이 너무 비싸서 우리는 달팽이집에 살 수밖에 없어)라고 말하죠.

67. 城中村 (chéng zhōng cūn) – 도시 속 마을

  • 城 (chéng) – 도시, 성
  • 中 (zhōng) – 가운데, 안
  • 村 (cūn) – 마을, 촌

도시가 확장되면서 도시 안에 남게 된 농촌 지역을 가리켜요. 주로 저소득층이 많이 살고 있어요. “很多外来务工人员住在城中村” (hěn duō wài lái wù gōng rén yuán zhù zài chéng zhōng cūn – 많은 외지에서 온 근로자들이 도시 속 마을에 산다)라고 말해요.

68. 小窝 (xiǎo wō) – 작은 보금자리

  • 小 (xiǎo) – 작다
  • 窝 (wō) – 둥지, 보금자리

직역하면 ‘작은 둥지’라는 뜻인데, 자신의 작은 집을 애정을 담아 부르는 표현이에요. “周末我就喜欢待在自己的小窝里” (zhōu mò wǒ jiù xǐ huān dāi zài zì jǐ de xiǎo wō lǐ – 주말에는 내 작은 보금자리에 있는 것을 좋아해)라고 말하죠.

69. 安家 (ān jiā) – 정착하다

  • 安 (ān) – 안정시키다, 평안하다
  • 家 (jiā) – 집, 가정

직역하면 ‘집을 안정시키다’라는 뜻인데, 새로운 곳에 집을 마련하고 정착하는 것을 의미해요. “毕业后,我决定在上海安家” (bì yè hòu, wǒ jué dìng zài shàng hǎi ān jiā – 졸업 후, 나는 상하이에 정착하기로 결심했어)라고 말해요.

70. 挤地铁 (jǐ dì tiě) – 지하철 지옥

  • 挤 (jǐ) – 밀다, 짜내다, 꽉 차다
  • 地铁 (dì tiě) – 지하철

직역하면 ‘지하철을 쥐어짜다’라는 뜻인데, 출퇴근 시간에 꽉 찬 지하철에 몸을 밀어 넣는 경험을 표현해요. “每天早上挤地铁真是痛苦” (měi tiān zǎo shang jǐ dì tiě zhēn shì tòng kǔ – 매일 아침 지하철 지옥은 정말 고통이야)라고 말하죠.

 

🎮 취미와 여가 관련 표현

71. 宅男/宅女 (zhái nán/zhái nǚ) – 집돌이/집순이

  • 宅 (zhái) – 집, 거주지
  • 男 (nán) – 남자
  • 女 (nǚ) – 여자

직역하면 ‘집에 있는 남자/여자’라는 뜻인데, 외출보다는 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을 선호하는 사람들을 가리켜요. “我周末就是个宅男,哪都不想去” (wǒ zhōu mò jiù shì gè zhái nán, nǎ dōu bù xiǎng qù – 주말에 나는 집돌이야, 어디도 가고 싶지 않아)라고 말해요.

72. 剧毒 (jù dú) – 중독성 강한

  • 剧 (jù) – 극심한, 심한
  • 毒 (dú) – 독, 독성

직역하면 ‘강한 독’이라는 뜻인데, 매우 중독성이 강한 드라마나 게임 등을 표현해요. “这部剧太剧毒了,我一晚上看了十集” (zhè bù jù tài jù dú le, wǒ yī wǎn shàng kàn le shí jí – 이 드라마는 너무 중독성이 강해서 하룻밤에 10회를 봤어)라고 말하죠.

73. 追剧 (zhuī jù) – 드라마 정주행

  • 追 (zhuī) – 쫓다, 추적하다
  • 剧 (jù) – 드라마, 극

직역하면 ‘드라마를 쫓다’라는 뜻인데, 드라마를 시리즈로 빠짐없이 보는 것을 의미해요. “我最近在追一部韩剧” (wǒ zuì jìn zài zhuī yī bù hán jù – 나는 요즘 한국 드라마 한 편을 정주행 중이야)라고 말해요.

74. 打卡 (dǎ kǎ) – 인증샷 찍기

  • 打 (dǎ) – 치다, 찍다
  • 卡 (kǎ) – 카드

직역하면 ‘카드를 찍다’라는 뜻인데, 유명한 장소나 맛집을 방문해 사진을 찍고 SNS에 공유하는 것을 의미해요. “我去巴黎必须打卡埃菲尔铁塔” (wǒ qù bā lí bì xū dǎ kǎ āi fēi ěr tiě tǎ – 파리에 가면 반드시 에펠탑 인증샷을 찍어야 해)라고 말하죠.

75. 种草 (zhòng cǎo) – 구매욕구 생기다

  • 种 (zhòng) – 심다, 재배하다
  • 草 (cǎo) – 풀, 식물

직역하면 ‘풀을 심다’라는 뜻인데, 어떤 상품에 관심이 생겨 사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을 의미해요. “看了这个博主的推荐,我被种草了” (kàn le zhè gè bó zhǔ de tuī jiàn, wǒ bèi zhòng cǎo le – 이 블로거의 추천을 보고 구매욕구가 생겼어)라고 말해요.

 

🏃‍♀️ 현대 라이프스타일 표현

76. 葛优躺 (gé yōu tǎng) – 게요탕

  • 葛优 (gé yōu) – 배우 거유(葛优)의 이름
  • 躺 (tǎng) – 눕다

중국의 유명 배우 거유(葛优)가 1993년 영화 《我爱我家》(나는 내 집을 사랑해)에서 소파에 편하게 누워있는 모습이 2016년경 인터넷 밈(meme)으로 유행하면서 생긴 표현이에요. 매우 편안하게 쉬는 자세를 의미하며, “周末在家就喜欢葛优躺” (zhōu mò zài jiā jiù xǐ huān gé yōu tǎng – 주말에 집에서는 게요탕으로 쉬는 걸 좋아해)라고 말하죠.

77. 佛系青年 (fó xì qīng nián) – 불系 청년

  • 佛系 (fó xì) – 불교 계통, 참선 모드
  • 青年 (qīng nián) – 청년, 젊은이

모든 일에 연연하지 않고 초연한 태도를 가진 젊은이들을 가리켜요. “我现在是佛系青年,不争不抢” (wǒ xiàn zài shì fó xì qīng nián, bù zhēng bù qiǎng – 나는 요즘 불系 청년이야, 경쟁하지도 않고 서두르지도 않아)라고 말해요.

78. 养生 (yǎng shēng) – 양생

  • 养 (yǎng) – 기르다, 보살피다
  • 生 (shēng) – 생명, 생활

직역하면 ‘생명을 기르다’라는 뜻인데, 건강을 위해 특별한 생활 습관이나 음식을 취하는 것을 의미해요. 최근에는 젊은 세대도 이런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면서 유행어가 됐어요. “现在年轻人也开始养生了” (xiàn zài nián qīng rén yě kāi shǐ yǎng shēng le – 요즘 젊은이들도 양생을 시작했어)라고 말하죠.

79. 斜杠青年 (xié gàng qīng nián) – 슬래시 청년

  • 斜杠 (xié gàng) – 사선, 슬래시(/)
  • 青年 (qīng nián) – 청년, 젊은이

여러 직업이나 정체성을 가진 젊은이를 가리켜요. 영어의 ‘slash youth’에서 온 표현으로, 이름 뒤에 여러 직함을 슬래시(/)로 구분해 쓰는 것에서 유래했어요. “他是程序员/摄影师/旅行博主,典型的斜杠青年” (tā shì chéng xù yuán/shè yǐng shī/lǚ xíng bó zhǔ, diǎn xíng de xié gàng qīng nián – 그는 프로그래머/사진작가/여행 블로거로, 전형적인 슬래시 청년이야)라고 말해요.

80. 收心 (shōu xīn) – 마음 다잡기

  • 收 (shōu) – 거두다, 모으다
  • 心 (xīn) – 마음, 심장

직역하면 ‘마음을 거두다’라는 뜻인데, 휴가나 놀고 난 후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해 마음을 다잡는 것을 의미해요. “长假结束了,该收心工作了” (cháng jià jié shù le, gāi shōu xīn gōng zuò le – 긴 휴가가 끝났으니, 마음을 다잡고 일해야 해)라고 말하죠.

 

📱 최신 인터넷 유행어

81. 打工人 (dǎ gōng rén) – 일하는 인간

  • 打工 (dǎ gōng) – 일하다, 노동하다
  • 人 (rén) – 사람, 인간

자신을 겸손하게 ‘노동자’로 지칭하며 일상의 고단함을 자조적으로 표현하는 말이에요. 2020년 하반기부터 중국 소셜미디어에서 큰 인기를 얻은 유행어로, “打工人,打工魂,打工都是人上人” (dǎ gōng rén, dǎ gōng hún, dǎ gōng dōu shì rén shàng rén – 일하는 인간, 일하는 혼, 일하는 건 모두 남보다 나은 사람)이라는 문구와 함께 퍼졌어요.

82. 内卷 (nèi juǎn) – 내부 경쟁

  • 内 (nèi) – 내부, 안
  • 卷 (juǎn) – 말다, 감다, 복잡하게 얽히다

원래 인류학 용어로 사회가 발전 없이 내부적으로 복잡해지는 현상을 가리키는데, 2020년경부터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과도한 경쟁 상태를 의미하는 유행어로 급부상했어요. 특히 교육, 취업 분야에서 모두가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만 전체적인 이득은 없는 상황을 표현해요. “现在教育太内卷了” (xiàn zài jiào yù tài nèi juǎn le – 요즘 교육은 너무 경쟁이 심해)라고 말하죠.

83. 躺平 (tǎng píng) – 눕기 운동

  • 躺 (tǎng) – 눕다
  • 平 (píng) – 평평하다, 평온하다

직역하면 ‘평평하게 눕다’인데, 2021년 초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표현으로 사회적 경쟁에서 벗어나 최소한의 노력으로 살아가는 생활 방식을 의미해요. “内卷”(과도한 경쟁)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현상입니다. “面对这么多压力,我选择躺平” (miàn duì zhè me duō yā lì, wǒ xuǎn zé tǎng píng – 이렇게 많은 압박 앞에서 나는 눕기를 선택한다)라고 말해요.

84. YYDS (yǒng yuǎn de shén) – GOAT

  • 永远 (yǒng yuǎn) – 영원히
  • 的 (de) – 의, ~의
  • 神 (shén) – 신

‘영원한 신’이라는 뜻의 중국어 ‘永远的神’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약어로, 2020년 이후 중국 인터넷 문화에서 급속히 퍼진 유행어입니다. 영어의 ‘GOAT'(Greatest Of All Time)와 비슷한 의미로, 누군가 매우 뛰어나거나 최고임을 표현할 때 쓰여요. “梅西就是足球界的YYDS” (méi xī jiù shì zú qiú jiè de YYDS – 메시는 축구계의 GOAT야)라고 말하죠.

85. 我太难了 (wǒ tài nán le) – 인생이 너무 힘들다

  • 我 (wǒ) – 나, 내
  • 太 (tài) – 너무, 매우
  • 难 (nán) – 어렵다, 힘들다
  • 了 (le) – 완료를 나타내는 어조사

직역하면 ‘나는 너무 어렵다’라는 뜻인데, 삶이 고단하거나 상황이 힘들 때 자조적으로 하는 말이에요. “工作、学习、还要照顾家庭,我太难了” (gōng zuò, xué xí, hái yào zhào gù jiā tíng, wǒ tài nán le – 일하고, 공부하고, 가정까지 돌봐야 하니 인생이 너무 힘들다)라고 말해요.

 

👫 현대 중국인의 관계 표현

86. 男闺蜜 (nán guī mì) – 남사친

  • 男 (nán) – 남자
  • 闺蜜 (guī mì) – 여자 친구(여성의 친한 여성 친구)

직역하면 ‘남자 절친’이라는 뜻인데, 여성의 가까운 남자 친구를 의미해요. “她和她的男闺蜜形影不离” (tā hé tā de nán guī mì xíng yǐng bù lí – 그녀와 그녀의 남사친은 형제처럼 붙어다녀)라고 말하죠.

87. 基友 (jī yǒu) – 절친

  • 基 (jī) – 기초, 기본(동성애를 의미하는 용어로도 사용)
  • 友 (yǒu) – 친구

원래는 게이 친구라는 뜻이었지만, 지금은 남성 간의 매우 친한 우정을 의미하는 말로 변했어요. “他们是多年的基友,关系特别好” (tā men shì duō nián de jī yǒu, guān xì tè bié hǎo – 그들은 오랜 절친이라 관계가 특별히 좋아)라고 말해요.

88. 闺蜜 (guī mì) – 여사친

  • 闺 (guī) – 규방, 여자의 방
  • 蜜 (mì) – 꿀, 밀접한 친구

직역하면 ‘규방의 꿀’이라는 뜻인데, 여성들 간의 매우 친한 우정을 의미해요. “我和我闺蜜无话不谈” (wǒ hé wǒ guī mì wú huà bù tán – 나와 내 여사친은 말 못할 비밀이 없어)라고 말하죠.

89. 怼 (duì) – 딱지 까다

  • 怼 (duì) – 맞서다, 반박하다

직역하면 ‘맞서다’라는 뜻인데, 누군가에게 날카롭게 반박하거나 비판하는 것을 의미해요. “不要随便怼人,要尊重他人” (bù yào suí biàn duì rén, yào zūn zhòng tā rén – 함부로 남에게 딱지 까지 말고, 타인을 존중해야 해)라고 조언하기도 해요.

90. 撒娇 (sā jiāo) – 애교 부리기

  • 撒 (sā) – 뿌리다, 펼치다
  • 娇 (jiāo) – 교태, 애교

직역하면 ‘투정을 부리다’라는 뜻인데, 특히 여성이 귀엽게 행동하며 상대방의 호의를 얻으려는 행동을 말해요. “她很会对男朋友撒娇” (tā hěn huì duì nán péng yǒu sā jiāo – 그녀는 남자친구에게 애교 부리는 것을 잘해)라고 말하죠.

 

🛒 소비와 쇼핑 관련 표현

91. 砍价 (kǎn jià) – 흥정하기

  • 砍 (kǎn) – 자르다, 베다
  • 价 (jià) – 가격

직역하면 ‘가격을 자르다’라는 뜻인데, 판매자와 가격을 협상하는 것을 의미해요. “在中国集市,砍价是必备技能” (zài zhōng guó jí shì, kǎn jià shì bì bèi jì néng – 중국 시장에서 흥정은 필수 기술이야)라고 말해요.

92. 剁手族 (duò shǒu zú) – 지름신 당원

  • 剁 (duò) – 자르다, 썰다
  • 手 (shǒu) – 손
  • 族 (zú) – 부족, 족

충동구매를 자제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재미있게 표현한 말이에요. “我是剁手族,看到打折就想买” (wǒ shì duò shǒu zú, kàn dào dǎ zhé jiù xiǎng mǎi – 난 지름신 당원이라 세일만 보면 사고 싶어져)라고 말하죠.

93. 买买买 (mǎi mǎi mǎi) – 사고 또 사고

  • 买 (mǎi) – 사다, 구매하다

쇼핑 중독이나 계속해서 물건을 사는 행동을 재미있게 표현한 말이에요. “双十一又要买买买了” (shuāng shí yī yòu yào mǎi mǎi mǎi le – 쌍십일에 또 사고 또 사고 하겠네)라고 말해요.

94. 种草 (zhòng cǎo) – 구매 욕구 생기다

  • 种 (zhòng) – 심다, 재배하다
  • 草 (cǎo) – 풀, 식물

상품에 대한 관심이 생겨 사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을 의미해요. “这个博主的推荐给我种了好多草” (zhè gè bó zhǔ de tuī jiàn gěi wǒ zhòng le hǎo duō cǎo – 이 블로거의 추천으로 많은 상품에 구매 욕구가 생겼어)라고 말하죠.

95. 拔草 (bá cǎo) – 구매하다

  • 拔 (bá) – 뽑다, 뽑아내다
  • 草 (cǎo) – 풀, 식물

‘종초(种草)’의 후속 단계로, 관심 있던 상품을 실제로 구매하는 것을 의미해요. “我终于拔了这个草,买了这款包包” (wǒ zhōng yú bá le zhè gè cǎo, mǎi le zhè kuǎn bāo bāo – 드디어 이 상품 구매했어, 이 가방을 샀지)라고 말해요.

 

📊 학업과 직장 관련 표현

96. 996 (jiǔ jiǔ liù) – 996 근무

  • 9 (jiǔ) – 숫자 9
  • 6 (liù) – 숫자 6

아침 9시부터 저녁 9시까지, 주 6일 근무하는 중국 IT 기업의 악명 높은 근무 체계를 가리켜요. “他在互联网公司工作,每天都是996” (tā zài hù lián wǎng gōng sī gōng zuò, měi tiān dōu shì jiǔ jiǔ liù – 그는 인터넷 회사에서 일하는데, 매일 996이야)라고 말하죠.

97. 加油站 (jiā yóu zhàn) – 공부하는 카페

  • 加油 (jiā yóu) – 기름을 넣다, 힘내다
  • 站 (zhàn) – 역, 정거장

직역하면 ‘주유소’라는 뜻인데, 학생들이 공부하기 위해 모이는 카페를 의미해요. “周末我都去那家咖啡厅当加油站” (zhōu mò wǒ dōu qù nà jiā kā fēi tīng dāng jiā yóu zhàn – 주말에는 항상 그 카페에 가서 공부해)라고 말해요.

98. 题海战术 (tí hǎi zhàn shù) – 문제 풀이 전략

  • 题 (tí) – 문제, 주제
  • 海 (hǎi) – 바다
  • 战术 (zhàn shù) – 전술, 전략

직역하면 ‘문제의 바다 전술’이라는 뜻인데, 많은 문제를 풀어서 시험에 대비하는 학습 방법을 가리켜요. “中国学生备考常用题海战术” (zhōng guó xué shēng bèi kǎo cháng yòng tí hǎi zhàn shù – 중국 학생들은 시험 준비에 문제 풀이 전략을 자주 사용해)라고 말하죠.

99. 秃头 (tū tóu) – 탈모

  • 秃 (tū) – 대머리, 탈모
  • 头 (tóu) – 머리

직역하면 ‘대머리’라는 뜻인데, 요즘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과도한 공부나 일로 인한 스트레스를 표현할 때 쓰여요. “再这样加班下去,我要秃头了” (zài zhè yàng jiā bān xià qù, wǒ yào tū tóu le – 이렇게 계속 야근하면 탈모가 생길 거야)라고 자조적으로 말해요.

100. 内推 (nèi tuī) – 내부 추천

  • 内 (nèi) – 내부, 안
  • 推 (tuī) – 밀다, 추천하다

직역하면 ‘내부에서 밀다’라는 뜻인데, 회사 내부 직원의 추천으로 채용 과정에 지원하는 것을 의미해요. “我是通过朋友内推进的这家公司” (wǒ shì tōng guò péng yǒu nèi tuī jìn de zhè jiā gōng sī – 나는 친구의 내부 추천으로 이 회사에 들어왔어)라고 말하죠.

 

이상으로 100가지 찐 중국인들이 자주쓰는 관용표현을 알아봤습니다.  특히 관용 표현들은 중국의 문화와 사회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중국인들이 일상에서 실제로 많이 사용하지만, 단순히 단어 그대로의 뜻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표현들 만을 주로 모아 봤습니다. 각 표현마다 구성 단어의 개별 의미와 발음(병음), 직역과 실제 의미, 어원 및 배경 설명, 그리고 실제 사용 예시까지 자세히 담았으니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