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를 시작할 때, 구글 애드센스를 고려하지 않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블로그를 할 거라면 가능하면 워드프레스(WordPress)로 시작하는 것을 추천한다. 길게 보면 워드프레스로 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 이롭다. 왜 그런지는 다음에 얘기 하도록 하고, 이번 글에서는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쉽고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여러가지 서버에 설치할 수 있겠지만, 나의 경우는 아마존 AWS 라이트세일(lightsail) 클라우드 서버에 워드프레스를 셋팅했다.
AWS 라이트세일은 워드프레스를 비트나미(Bitnami)통해 자동으로 배포하는데… 일종의 원큐 자동 배포 패키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일일이 DBMS, PHP, 아파치서버등을 수고롭게 설치할 필요가 업다는 것이다. 우선 비트나미의 개념이 어렵다면 무시하고 스킵해도 된다. 그냥 AWS라이트세일 서비스를 통해 워드프레스를 설치한다고만 생각해도 되겠다.
1. AWS 라이트세일 인스턴스 만들기
1.1 AWS 라이트세일 홈페이지 접속 및 인스턴스 생성 시작
먼저 AWS 라이트세일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상단에 위치한 Create Instance 버튼을 눌러 인스턴스 생성 과정을 시작한다. 화면에 나타나는 예시 이미지를 참고하며 진행하면 어렵지 않게 따라 할 수 있다.
1.2 서버 위치(리전) 변경
인스턴스 생성 페이지에서는 서버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AWS 라이트세일의 큰 장점 중 하나는 리전 서버가 국내에 위치해 있어 빠른 접속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Seoul 리전을 선택하면 된다. 만약 다른 국가에 거주하는 사용자라면 본인의 거주지에 맞는 리전을 선택하면 된다.
1.3 서버 OS 및 애플리케이션 선택
다음 단계에서는 설치할 서버의 운영체제와 함께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비용 효율적인 리눅스 서버를 선택하고, 기본적으로 워드프레스가 설치된 옵션을 선택하면 보다 편리하게 블로그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2. SSH 키 생성하기
2.1 SSH 키 생성 화면으로 이동
인스턴스 생성 페이지 하단으로 스크롤하면 SSH 키 생성 관련 항목이 나타난다. 여기서 Change SSH Key pair 버튼을 클릭하여 SSH 키 설정 화면으로 들어간다.
2.2 기존 SSH 키 선택 또는 새 키 생성
이미 생성된 SSH 키가 있다면 이를 선택할 수 있지만,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 생성하는 것을 권장한다. 새 SSH 키를 생성하려면 Create New 버튼을 눌러 진행한다.
2.3 SSH 키 이름 입력 및 생성
원하는 SSH 키의 이름을 입력한 후, Generate key pair 버튼을 클릭하여 SSH 키를 생성한다. 생성 과정은 간단하므로 안내에 따라 진행하면 된다.
2.4 SSH 키 다운로드 및 관리 주의사항
SSH 키가 성공적으로 생성되고 등록되면 Download private key 버튼을 눌러 개인 키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다운로드된 개인 키 파일은 예를 들어 “WP_InnerN_key.pem”이라는 이름으로 저장된다. 이 파일은 서버 접속 시 매우 중요한 파일이므로 잃어버리지 않도록 클라우드나 별도의 안전한 저장공간에 보관해야 한다.
3. 인스턴스 사양 선택 및 생성하기
3.1 서버 사양 선택
서버의 사양을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블로그 운영 목적과 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 AWS 라이트세일은 3개월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지만, 보다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최소 사양인 3.5달러 서버보다 약간 더 높은 5달러 서버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3.2 인스턴스 이름 지정 및 생성
원하는 인스턴스 이름을 지정한 후, Create Instance 버튼을 클릭하여 인스턴스 생성을 진행한다. 화면에 나타나는 예시 이미지를 참고하며 진행하면 생성 과정이 한층 명확해진다.
4. Amazon 라이트세일 인스턴스 생성완료 및 서버 접속 확인하기
4.1 인스턴스 생성 완료 및 서버 구동
인스턴스 생성이 완료되면, 설정한 구성대로 서버가 자동으로 구동되기 시작된다. 서버가 완전히 작동되기까지는 약 2~3분 정도 소요되므로 잠시 기다리면 된다.
4.2 워드프레스 서버 활성화 확인
서버가 활성화되면, 생성된 인스턴스를 클릭하여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화면에서는 서버의 퍼블릭 IP 주소와 기본 접속 아이디 등이 제공된다.
4.3 서버 접속 정보 확인
생성된 워드프레스 서버의 기본 접속 정보는 다음과 같다.
- CONNECT TO : 예시로 “43.201.35.127”과 같이 서버의 퍼블릭 IP가 제공된다.
- USERNAME : ‘bitnami’라는 리눅스 서버 기본 접속 아이디가 제공된다.
4.4 사이트 구축 확인
확인한 퍼블릭 IP 주소를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하여 사이트가 정상적으로 구축되었는지 확인한다. 정상적인 화면이 표시되면 서버 구축 및 워드프레스 설치 과정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이다.
여기까지 진행하면 AWS 라이트세일을 통한 서버 구축과 워드프레스 설치가 모두 완료된다. 이후 포스팅에서는 워드프레스 초기 설정 방법 및 도메인 연결을 더욱 자세하게 안내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