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를 사용한다면 패키지 관리자는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설치, 업데이트, 제거하는 작업이 간편해지죠. 하지만 리눅스 배포판마다 다른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주요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 명령어들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APT (Advanced Package Tool)
APT는 Debian, Ubuntu, Linux Mint 등의 배포판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deb
패키지 형식을 사용하며, 강력하고 사용하기 쉬운 특징이 있습니다.
주요 명령어
패키지 업데이트 및 설치
패키지 목록을 최신으로 업데이트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sudo apt update
시스템에 설치된, 업그레이드 가능한 모든 패키지 업그레이드:
sudo apt upgrade
특정 패키지 설치:
sudo apt install 패키지명
예를 들어, nginx 웹 서버를 설치하고 싶다면:
sudo apt install nginx
여러 패키지를 한 번에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sudo apt install nginx mysql-server php
패키지 검색 및 정보 확인
패키지를 검색하려면:
apt search 검색어
특정 패키지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려면:
apt show 패키지명
예를 들어 Python 3의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apt show python3
패키지 제거
패키지를 제거하려면:
sudo apt remove 패키지명
패키지와 함께 설정 파일까지 완전히 제거하려면:
sudo apt purge 패키지명
사용하지 않는 의존성 패키지를 제거하려면:
sudo apt autoremove
주요 옵션
-y
: 모든 확인 프롬프트에 자동으로 ‘예’로 응답합니다. 스크립트에서 유용합니다.sudo apt install -y nginx
--no-upgrade
: 이미 설치된 패키지는 업그레이드하지 않습니다.sudo apt install --no-upgrade 패키지명
--only-upgrade
: 지정한 패키지가 이미 설치된 경우만 업그레이드합니다.sudo apt install --only-upgrade 패키지명
-s
또는--simulate
: 실제로 설치하지 않고 설치 과정을 시뮬레이션합니다.sudo apt -s install nginx
주의사항
apt update
를 실행하지 않으면 오래된 패키지 정보로 작업하게 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시스템 패키지를 제거할 때는 의존성 관계를 주의 깊게 확인해야 합니다.
- 전체 시스템 업그레이드 (
apt full-upgrade
)는 신중하게 해야 합니다. 특히 서버 환경에서는 예상치 못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2. YUM (Yellowdog Updater Modified)
YUM은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CentOS, 구버전 Fedora 등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rpm
패키지를 관리합니다.
주요 명령어
패키지 업데이트 및 설치
시스템 전체 업데이트:
sudo yum update
특정 패키지 설치:
sudo yum install 패키지명
예를 들어, httpd 웹 서버를 설치하려면:
sudo yum install httpd
패키지 그룹 설치:
sudo yum groupinstall "그룹명"
예를 들어, 개발 도구를 설치하려면:
sudo yum groupinstall "Development Tools"
패키지 검색 및 정보 확인
패키지 검색:
yum search 검색어
특정 패키지의 정보 확인:
yum info 패키지명
사용 가능한 패키지 그룹 목록:
yum grouplist
패키지 제거
패키지 제거:
sudo yum remove 패키지명
사용하지 않는 패키지 정리:
sudo yum autoremove
저장소 관리
활성화된 저장소 목록 확인:
yum repolist
저장소 추가(예: EPEL 저장소):
sudo yum install epel-release
주요 옵션
-y
: 모든 프롬프트에 ‘예’로 응답합니다.sudo yum -y install httpd
--enablerepo=저장소명
: 특정 저장소를 활성화합니다.sudo yum --enablerepo=epel install 패키지명
--disablerepo=저장소명
: 특정 저장소를 비활성화합니다.sudo yum --disablerepo=updates install 패키지명
--nogpgcheck
: GPG 서명 확인을 건너뜁니다(보안상 권장하지 않음).sudo yum --nogpgcheck install 패키지명
주의사항
- YUM은 RHEL 8부터 DNF로 대체되었지만,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을 위해 여전히 사용 가능합니다.
- 서드파티 저장소 추가 시 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소스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3. DNF (Dandified YUM)
DNF는 YUM의 후속 버전으로, Fedora, RHEL 8 이상, CentOS 8 이상에서 기본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YUM보다 성능이 향상되고 의존성 해결 알고리즘이 개선되었습니다.
주요 명령어
패키지 업데이트 및 설치
시스템 전체 업데이트:
sudo dnf update
또는:
sudo dnf upgrade
특정 패키지 설치:
sudo dnf install 패키지명
패키지 그룹 설치:
sudo dnf groupinstall "그룹명"
패키지 검색 및 정보 확인
패키지 검색:
dnf search 검색어
특정 패키지 정보 확인:
dnf info 패키지명
패키지 파일 목록 확인:
dnf repoquery -l 패키지명
패키지 제거
패키지 제거:
sudo dnf remove 패키지명
불필요한 패키지 제거:
sudo dnf autoremove
히스토리 및 저장소 관리
DNF 명령 히스토리 확인:
dnf history
특정 트랜잭션 취소:
sudo dnf history undo 트랜잭션ID
저장소 목록 확인:
dnf repolist
모듈 스트림 목록 확인:
dnf module list
주요 옵션
-y
: 모든 프롬프트에 ‘예’로 응답합니다.sudo dnf -y install httpd
--best
: 최적의 패키지 버전을 선택합니다.sudo dnf --best upgrade
--nobest
: 최적의 패키지를 찾는 제약을 무시합니다.sudo dnf --nobest upgrade
--refresh
: 저장소 메타데이터를 강제로 업데이트합니다.sudo dnf --refresh upgrade
주의사항
- YUM과 DNF는 명령어 구조가 매우 유사하지만, DNF가 더 빠르고 효율적입니다.
- RHEL/CentOS 8 이후 시스템에서는 DNF 사용을 권장합니다.
- AppStream 모듈 관리에 유의해야 합니다. 일부 패키지는 모듈 스트림으로 제공됩니다.
4. Pacman
Pacman은 Arch Linux, Manjaro 등 Arch 기반 배포판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간결한 명령어와 롤링 릴리스 모델을 지원합니다.
주요 명령어
패키지 업데이트 및 설치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및 시스템 전체 업데이트:
sudo pacman -Syu
특정 패키지 설치:
sudo pacman -S 패키지명
새 패키지 설치 시 의존성만 새로고침:
sudo pacman -Sy 패키지명
패키지 검색 및 정보 확인
패키지 검색:
pacman -Ss 검색어
설치된 패키지 검색:
pacman -Qs 검색어
패키지 정보 확인:
pacman -Si 패키지명
설치된 패키지 정보 확인:
pacman -Qi 패키지명
특정 파일을 소유한 패키지 찾기:
pacman -Qo /경로/파일명
패키지 제거
패키지 제거(의존성 제외):
sudo pacman -R 패키지명
패키지와 사용하지 않는 의존성 함께 제거:
sudo pacman -Rs 패키지명
패키지와 설정 파일 함께 제거:
sudo pacman -Rn 패키지명
캐시 관리
모든 패키지 캐시 삭제:
sudo pacman -Scc
필요 없는 패키지 캐시만 삭제:
sudo pacman -Sc
주요 옵션
-S
: 설치(Sync)-R
: 제거(Remove)-Q
: 쿼리(Query)-y
: 저장소 데이터베이스 갱신-u
: 시스템 업데이트-s
: 검색(search)-i
: 정보 표시(info)-n
: 설정 파일 보존하지 않음-c
: 캐시 정리(clean)
주의사항
- Arch Linux는 롤링 릴리스 방식이므로, 업데이트 전 Arch 뉴스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Sy
없이-S
만 사용하면 오래된 패키지 정보로 설치될 수 있습니다.- 부분 업그레이드(
-Sy
후 개별 패키지 설치)는 시스템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항상
-Syu
로 전체 시스템을 업데이트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5. 기타 패키지 관리자
Zypper (openSUSE)
openSUSE의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주요 명령어
저장소 새로고침:
sudo zypper refresh
패키지 설치:
sudo zypper install 패키지명
시스템 업데이트:
sudo zypper update
패키지 검색:
zypper search 검색어
Snap (Ubuntu 및 기타 배포판)
Canonical에서 개발한 범용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주요 명령어
패키지 찾기:
snap find 검색어
패키지 설치:
sudo snap install 패키지명
설치된 스냅 보기:
snap list
스냅 업데이트:
sudo snap refresh 패키지명
Flatpak (범용)
샌드박스 환경에서 앱을 실행할 수 있는 범용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주요 명령어
원격 저장소 추가:
flatpak remote-add --if-not-exists flathub https://flathub.org/repo/flathub.flatpakrepo
앱 설치:
flatpak install flathub 앱ID
설치된 앱 목록:
flatpak list
앱 실행:
flatpak run 앱ID
앱 업데이트:
flatpak update
6. 저수준 패키지 관리 명령어
dpkg (Debian 계열)
apt의 저수준 백엔드로 직접 .deb 파일을 다룹니다.
# .deb 파일 설치
sudo dpkg -i 패키지파일.deb
# 설치된 패키지 목록
dpkg -l
# 특정 패키지의 파일 목록
dpkg -L 패키지명
# 패키지 제거 (설정 파일 유지)
sudo dpkg -r 패키지명
# 패키지 완전 제거 (설정 파일 포함)
sudo dpkg -P 패키지명
rpm (RHEL 계열)
yum/dnf의 저수준 백엔드로 직접 .rpm 파일을 다룹니다.
# .rpm 파일 설치
sudo rpm -i 패키지파일.rpm
# 패키지 업데이트
sudo rpm -U 패키지파일.rpm
# 설치된 패키지 쿼리
rpm -q 패키지명
# 패키지에 포함된 파일 목록
rpm -ql 패키지명
# 패키지 제거
sudo rpm -e 패키지명
7. 패키지 관리자 사용 시 주의사항
- 루트 권한: 대부분의 패키지 설치 명령은 루트 권한(sudo)이 필요합니다.
- 백업: 중요한 시스템 컴포넌트를 업데이트하기 전에 데이터와 설정을 백업하세요.
- 신뢰할 수 있는 소스: 공식 저장소나 신뢰할 수 있는 서드파티 저장소만 사용하세요.
- 의존성 관리: 패키지 제거 시 의존성 관계에 주의하세요. 특히
autoremove
명령을 사용할 때 필요한 패키지가 제거되지 않는지 확인하세요. - 업데이트 전 확인: 서버 환경에서는 중요한 업데이트 전에 변경 사항을 확인하고, 가능하면 테스트 환경에서 먼저 시도하세요.
- 패키지 버전 충돌: 여러 패키지 관리자를 혼용하면 버전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배포판의 기본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세요.
8. 배포판별 패키지 관리자 요약
배포판 | 패키지 관리자 | 패키지 형식 |
---|---|---|
Ubuntu, Debian | apt, dpkg | .deb |
RHEL/CentOS 7 | yum, rpm | .rpm |
RHEL/CentOS 8+, Fedora | dnf, rpm | .rpm |
Arch Linux, Manjaro | pacman | .pkg.tar.xz/.zst |
openSUSE | zypper, rpm | .rpm |
리눅스 배포판마다 다른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지만, 기본 개념은 비슷합니다. 자신이 사용하는 배포판에 맞는 패키지 관리자를 익히면 소프트웨어 관리가 한결 수월해집니다. 각 패키지 관리자의 매뉴얼 페이지(man apt
, man yum
등)를 참고하면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주요 명령어만 기억해두면 대부분의 일상적인 작업은 해결할 수 있습니다. 특히 패키지 업데이트, 설치, 검색, 제거 명령어는 반드시 알아두면 좋습니다. 🙂